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우주선은 태양에 갈 수 있지만 ‘기차(train)는 태양(Sun)으로 갈 수 없다.’는 논리적인 생
각
을 하고, train과 ran의 관계 속에서 Sun을 ‘일요일’로 유추하고 만다. 결과는 ‘그 기차는 일요일에 운행하였습니다.’라는 전혀 엉뚱한 번역이 나오게 된다.현재 번역기가 가지는 여러가지 한계 때문에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위한 입문서이다. 생명공학의 개념을 평이하게 풀어 설명하려 했다는 점, 그리고
각
주제별로 생명공학의 장점과 단점, 또는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가급적 균형에 맞춰 소개하고 있다. 그래서 과학자나 정부·기업측 연구자의 논리뿐 아니라 시민(단체)의 입장 역시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크게 ... ...
① 시
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극장에 들어섰을때 처음에는 눈앞이 캄캄하지만 곧 주변이 보이기 시작한다.붉은 노을이 물든 황혼 무렵 푸른 소나무의 고유한 색상을 ... 인식할 수 있는 인공눈의 개발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 시
각
과 견줄만한 인공시
각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베푸는 것처럼 동물들도 이만하면 부족할 것 없이 문명의 혜택을 누리게 된 것이라고 생
각
한다. 과연 동물들에게 그러한 생활이 행복한 것일까.야생동물이 드넓은 곳에서 생활할 때, 동물들의 행동은 세가지 충동에 의해 지배된다. 식욕, 성욕, 방어욕이 그것이다. 이 충동이야말로 곧 그들의 생존을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못하는 이유로 ‘바쁘다’는 핑계를 댄다. 하지만 거꾸로 생
각
하면 바쁜 것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할 수 있게 만드는 기회다. 운동할 시간을 따로 낼 수 없다면 평소 출근 시간을 조금 앞당겨 버스에서 미리 내려 직장까지 걸어가보자. 또 직장에서 엘리베이터나 ... ...
생
각
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생
각
만으로 CD플레이어의 소리를 줄이고 문을 열을 수 있다면 어떨까. 공상과학소설의 이야기? 그렇지 않다. 로체스터 대학 연구실에서 리모콘 ... 가동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연구자는 장애인들이 일련의 명령어를 생
각
함으로써 휠체어를 움직일 수 있을 날을 꿈꾸고 있다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지적 기능이다. 학습 기능이 없는 사람이나 시스템이 얼마나 답답하고 불편한가를 생
각
해보면 학습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오래 전부터 컴퓨터에 학습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인공지능 초창기인 1960년대 초 IBM 연구소에 있던 아서 사무엘이 체스보다 단순한 체커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 현측 난간 좌우에
각각
포혈 10개 복판(덮개) 좌우에
각각
포혈 10개와 복판 좌우에
각각
6개의 포혈이 있다”는 것은 거북선의 갑판이 중갑판과 상갑판으로 분리돼 있음을 의미한다. 영조 때 균세사로 연해지방을 감찰하고 돌아온 박문수는 “이충무공의 기록을 상세히 조사한 결과 거북선의 복판 ... ...
의료용 방사선 영상 계측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우선 방사성 동위원소가 결합된 화학물질을 인체에 흡수시킨다. 흡수된 물질은 인체의
각
부위로 퍼져 가는데, 이때 흡수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 최종 도착지가 달라진다.요오드화합물인 경우에는 갑상선 쪽으로 모이고, 포도당인 경우에는 뇌 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 화합물 속에 들어있는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있다. 언젠가는 대마젤란 성운의 구상성단은 우리은하의 구상성단이 될 것으로 생
각
된다.1999년 영국의 저명한 과학잡지 ‘네이처’에 실린 연세대 우주망원경사업단 이영욱 교수팀의 논문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가 왜소은하로부터 왔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이 교수팀은 남반구에 있는 유명한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