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03
각각의 양초는 4시간씩 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6개의 초들은 차례로 돌아가면서
빛
났고 마지막 6번째 초가 다 탔을 때는 24시간이 지났다. 그러나 알프레드 대왕이 약속대로 매일 두 개의 초길이 만큼은 종교적 의무에 충실했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양초나 램프기름을 사용할 여유를 가졌던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02
직경 17m의 거대한 거울을 이용한 것이다. 이 포물반사경은 중심에서 14m 떨어진 한 점에 햇
빛
을 집중시킨다. '쉬엘'씨는 지난 가을에 이 시설로 1천4백℃의 온도를 기록했는데 이것은 세계기록이다. 이러한 태양거울을 이용한 발전기는 2백가구에게 필요한 모든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 ...
PART 4 초신성 폭발의 수수께끼 「초신성1987A」는 청색초거성이었다
과학동아
l
198802
'쿠반트'는 작년 여름 거의 동시에 초신성으로부터의 X선을 관측했다. 초신성1987A의
빛
은 점차 약해지고 있지만 과학자들의 열기는 좀처럼 식을 줄을 모른다. 어떤 학자는 이런 현상을 두고 초신성을 장미에 비유했다. 지금까진 싹만 보았을 뿐, 이제는 꽃피는 것을 볼 차례라는 것이다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01
따르면 거대한 블랙홀로부터 이렇게 추출된 에너지는 퀘이사를 수억 년 동안 밝게
빛
나게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퀘이사의 수수께끼는 이제 거대한 블랙홀 이론에 의하여 풀린 셈이다. 우주로 눈을 돌려야 금세기 초반 양자물리학에 기반을 둔 핵융합 이론이 등장했을 무렵 그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01
시작하여 강X-선(파장이 1억분의 1cm 부근의 단파장 X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을 가지는
빛
들이 물질내에서의 원자들의 배치상태라든지 전기적인 성질들을 밝히는데 훌륭한 공급원이 된다는 사실의 발견에 따라 방사광 자체의 이용만을 위한 원형 방사광 가속기의 개발 및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01
가운데는 모래나 뻘속에 파고 들어가 생활하는 종류가 있으며 이들의 눈은 약간의
빛
으로도 사물을 분간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그들의 복안의 구조를 연구하여 카메라의 광도기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그 사람은 교수직은 캐임브리지대학에 두고 있지만 연구비는 주로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01
대기를 질주할 때 공기 저항이 혜성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암석이나 금속은 가열되어
빛
을 발하고, 우리는 '나르는 별' '유성'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때 얼음은 증발한다. 만약 혜성이 대단히 빨리 뜨거워지면 갑작스러운 증발현상이 거대한 폭발을 일으킬수 있다. 이 폭발은 미처 증발할 ... ...
흥미있는 컴퓨터 체스 2천3백점대의 챔피언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801
, 그래서 체스의 수 탐색을 덜하는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그결과 체스 4.0 시리즈가
빛
을 보게 되었다. 그해 73년 ACM대회에서는 2위에 머물렀다가 이듬해 정상에 올라섰다. 그후 프로그램은 계속 향상되어 1976년의 체스 4.5는 2천70점에 랭크되었다. 드디어 1977년에는 9년전 내기했던 데이비드 레비와 ... ...
'제5의 힘' 재확인
과학동아
l
198801
자연계에 존재한다고 보고있는 힘은 4종류다. 물체끼리 서로 끄는 '중력'(만유인력),
빛
이나 전파의 근원이되는 '전자기력(電磁氣力), 원자핵 속에서 양자와 중성자를 묶어놓고 있는 '강한 힘', 그리고 어떤 종의 전자가 방사선을 내면서 자연붕괴할 때 움직이는 '약한 힘'이 그것이다. 그런데 지난 8 ... ...
뇌활동이 왕성하고 성장도 잘돼
과학동아
l
198801
체온측정이다. '플리커'테스트란 대뇌의 활동상황을 조사하는 생리심리학방법으로 작은
빛
의 점멸을 나타내 그 간격을 점차로 짧게하여 그대로 두었을때 보이는 1초당의 점멸회수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뇌활동이 낮을수록 빠른 단계에서 점멸이 보이지 않게되어 수치가 낮아진다. 그 결과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