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8,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겨울방학 특별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국립과천과학관 겨울방학 특별교육과정 홍보물. 국립과천과학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은 겨울방학을 맞아 올해 1월 23일부터 2월 2일까지 총 2기에 걸쳐 평일 4차 ... 펼친다. 각각 NASA의 달과 화성 탐사 그리고 한국인 최초 우주인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국제
우주정거장의 생활을 다룬다 ... ...
[과기원NOW]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블록공중합체(BCP) 나노 구조체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지난 5일 게재됐다. BCP는 한 단량체의 블록이 다른 단량체의 블록과 연결돼 만들어진 고분자다. 자체 조립이 가능해 다양한 특성을 가진 나노미터(nm)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지만 구조가 ... ...
전이성 유방암 '항암제 내성' 생기는 원인·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입랜스에 내성이 있는 마우스 종양 모델에 PEG10 RNA 치료제를 적용하자 종양 크기가 감소했다. 분당차병원 제공. 유방암 환자가 항암제 내성을 보 ... 개발될 수 있으니 희망을 갖고 꾸준히 치료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실험, 임상암 연구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 ...
여성 대장암 발병률 낮은 이유 찾았다…"풍부한 '유산균'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이하 젊은 연령대에서 유산균(젖산균), 낙산균 등 장내 유익균이 많다는 사실을 규명해
국제
학술지 '굿 앤 리버'에 온라인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한 해 국내에서 발생한 대장암 환자 수는 3만2751명으로 3만5303명을 기록한 갑상선암 다음으로 발병률 2위다. 2019년 ... ...
우주항공청특별법 국회 과방위 통과…9일 본회의 통과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우주항공청은 우주항공 분야에 대한 범부처 정책 수립, 산업 육성, 인력 양성,
국제
교류 등을 담당하게 된다. 우주 분야 유관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이 편입된다. 앞서 여야는 우주항공청 특별법과 관련해 우주항공청의 연구개발(R&D) 직접 수행 기능을 ... ...
한국인 교육 성취도 높은 유전적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인구의 다양성을 고려했을 때 그 성능이 향상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원홍희 교수는 “
국제
협력을 통해 미흡했던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유전 연구를 최대 규모로 수행했다“며 “다양한 인구를 기반으로 한 유전 연구를 통해 교육적 성취와 유전적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높일 수 ... ...
우주 구성 거미줄 구조 '암흑물질' 필라멘트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추정되는 우주 구조의 실제 단서를 처음으로 측정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지난 5일 발표했다고 8 밝혔다. 천체물리학 이론에 따르면 우주 전체는 암흑 물질로 이뤄진 거미줄 구조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암흑물질은 암흑에너지와 함께 우주의 대부분을 ... ...
공황장애 유발 핵심 뇌 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외측 팔곁핵'이라는 부위가 공황장애 증상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4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그동안 공황장애는 공포를 처리하는 뇌 영역인 ‘편도체’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편도체 손상이 발생한 환자도 공황장애를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프라임 교정 기술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 의학엔지니어링'에 발표했다. '4세대 유전자가위 기술'로 분류되는 프라임 교정 기술은 '카스거비'에 사용된 유전자가위 기술인 '크리스퍼 카스9'보다 정확성과 안전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 ...
"보청기 사용 꺼리지 마세요"...조기 사망 예방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의대 연구원 연구팀은 보청기가 장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3일
국제
학술지 '랜싯'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미국 성인 약 4000만 명이 청력 손실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10명 중 1명만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청력 손실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고립,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