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인형은 소마에게 봉투를 건네 주었다. 그 봉투 안에는 네 가지 힌트가 적혀 있었다.“주어
진
시간은 3분. 213번 물품보관 사물함 안에는 폭탄이 들어 있어. 그 폭탄은 정확히 3분 이후에 터지게 되지. 폭탄이 터지면 비밀번호를 맞히더라도 사물함은 절대 열리지 않을 거야. 그러니 시간 이내에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입자를 어떻게 발견하느냐고 물었죠. 와인버그는 1년 안에 발견된다고 이야기했고요.”김
진
의 경희대 석좌교수가 회상했다.“하지만 결코 발견되지 않았죠.”액시온이 수명이 아주 짧아서 나타나자마자 다른 입자로 바뀌어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페체이-퀸 가설은 나오자마자 증명이 불가능한 ... ...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생긴다?몇 년 전, 국내 언론이 “브래지어를 오래 착용하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
진
다”고 보도했다. 당시 바탕이 된 근거 자료는 ‘아름다움이 여자를 공격한다’는 책 한 권. 부부 의료인류학자라고 소개한 두 명의 저자는 유방암이 있는 2056명의 여성과 건강한 여성 2674명의 브래지어 착용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책임연구원은 “네이처의 다양한 자매지 창간으로 과학자들의 접근성이 좋아
진
것은 사실”이라며 “최근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자매지 논문 게재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각 나라마다, 각 학문마다 성과를 평가하는 전통은 다양하고 과학계 내부에서도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바로 옆에 실험장치가 있는 게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죠. ‘이 사람들은
진
짜 손에 잡히는 물리를 할 수 있겠구나’하고요. 다른 나라에 가서야 그런 기회를 얻는 것과는 하늘과 땅 차이에요. 그런데 이제 우리도 가능하게 됐어요. 실험과 이론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이론을 발전시킬 수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해도 자동으로 울리는 경보를 들으면 뒷차에 탄 사람이 사고를 피할 확률은 훨씬 높아
진
다.“이런 융합기술이 생활화 되면 얼마나 편리하겠어요. 우리 연구실은 조명이 사용되는 생활 구석구석에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근거리 생활통신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다른 어느 나라보다 앞서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물리학상을 받았다. 실제로 원자에서 전자의 파동은 정상파가 허용하는 특정 파장만 가
진
다. 원자는 이에 해당하는 띄엄띄엄한 에너지만 가질 수 있다. 띄엄띄엄하다는 것을 고상한 말로 양자화되어 있다고 하며, 양자역학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나왔다.이 정도면 할머니에게는 첫 번째 강의로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27년까지 3t급 위성을 정지궤도에
진
입시키는 발사체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과학자들이 달에 태극기를 꽂을 날을 기대해본다 ... ...
내 돈은 언제 두 배가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자코포 데 바르바리는 1495년, ‘파치올리의 초상’이라는 그림을 그렸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파치올리(1445~1514)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 ... 르네상스 시대에 기하학과 회계학 분야에 큰 획을 그은 수학자이자 수도사였던 파치올리는
진
정한 르네상스적 인간이었다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물리학을 꿈꾸며그렇다면 힉스 입자를 발견했으니 입자물리학은 더 이상 할 일이 없어
진
것일까. 전혀 그렇지가 않다. 역설적이게도 표준모형의 완성이라고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는,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을 강력하게 요구한다.힉스 입자는 양자역학적인 보정을 통해 그 질량이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