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해에 새로운 태양주기가 시작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최근 태양권 궤도 관측 위성(소호, SHOH)이 보내 온 사진을 두고 태양의 주기가 다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태양 주기는 자기장 ... 곧 시작될 수도 있으며, 새로 시작되는 태양 주기는 크고 강렬해서 통신이나 항공 등에
영향
을 줄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답니다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표현되는 것을 기대하여 체계화시킨 육종법이다 따라서 유전자형의 표현이 환경에 크게
영향
을 받지 않는 형질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감광도(感光度)가 ISO 200 이상의 사진촬영용 필름 사진촬영용 필름의 감광도 표시방법은 독일의 DIN, 미국의 ASA 등으로 나라마다 달랐으나 최근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는“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
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다음 빙하기가 찾아올 시점이 앞으로 수천 년 뒤일지, 수만 년 뒤일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그레고리 롤린 박사팀은 이에 착안해 미래에 태양 주변을 지나가는 별의
영향
을 시뮬레이션해 행성과학 분야 국제저널 ‘이카루스’에 발표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연구팀은 앞으로 35억 년에 걸쳐 태양 근처를 지나가는 별이 지구를 태양계에서 쫓아낼 확률을 10만 분의 1이라고 계산했다. 이 확률은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말했다.하버드대 대니얼 길버트 교수는 “사람들의 행복이 남과 비교하는데서 크게
영향
을 받는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오늘날 대중매체는 예외적으로 부유하거나 성공한, 또는 아름답거나 권력을 지닌 사람들을 집중조명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런 사람들이 흔한 것으로 착각해 자신의 ... ...
밥상 안전, 벌레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그 결과 토양이나 지상부에 있는 수많은 생물들을 죽인다. 해충의 자연 천적들도 치명적
영향
을 받는다. 게다가 농작물에 남아있는 잔류농약을 사람이 먹을 수도 있다.천적에 대한 연구는 서양에서 100년 전부터 시작했고 현재까지도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특히 농업해충 방제를 ... ...
그믐달에서 보름달까지 변하는 '내 방 안의 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큰
영향
을 미치는 태양과 달. 그 중에서 달은 크기가 태양의 400분의 1 밖에 되지 않는 작은 천체다. 그렇다고 인류가 달의 중요성을 태양의 400분의 1 만큼 느끼는 것은 아니다. 지구의 위성인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인 태양에 비해 그 지위가 한참 낮지만 인류에게 달은 밤을 밝히는 존재로 낮을 ... ...
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희망을 건져 올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손에 손을 맞잡은 자원봉사자와 방제전문가, 생물
영향
평가를 하기 위해 모인 과학자의 노력이 모이며 태안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PART 2 유출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쓰이는 독성이 강한 유화제로 만든 유처리제를 대량으로 썼기 때문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이 컸던 것. 그 뒤 법적 요건이 강화되면서 독성이 큰 유화제는 쓸 수가 없게 됐다. 다만 유화된 미세한 기름방울은 생물체에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변이나 호수같이 잘 희석되지 않는 곳에서는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속도로 움직인다고 생각한다.이때 우리 눈과 물체 사이의 거리는 물체를 보는 각도에 큰
영향
을 미친다. 멀리 있는 물체일수록 각도의 차가 작다는 얘기다. 달리는 버스에서 길가의 가로수를 보면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휙휙 지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멀리 있는 산은 한참을 달려야 보는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