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9월 23일경)이 되면 다시 지평선에 걸치게 된다. 따라서 춘분부터 추분까지 해는 지평선
아래
로 내려갈 수가 없어 6개월간 낮이 계속 이어지고, 마찬가지로 추분부터 이듬해 춘분까지는 6개월간 밤이 계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날 정오 해가 지평선 위에 있었으면 6개월 뒤 정오에는 반드시 땅 밑에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없이 제품 판매에 매달릴 즈음 기회도 찾아왔다. 지난 1998년 우리나라가 IMF 관리체제
아래
들어가면서 환율이 상승해 수입 유산균의 가격이 곱절로 뛰어 아예 공급마저 딸리게 된 것이다. 그 때 쎌바이오텍의 유산균은 수입가의 1/3으로 떨어져있었다. 그 결과 1997년 10월 이전에 8개사에 불과하던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눌린 꼴의 원이 4줄로 형성돼 있으므로 4줄x24칸=원형 벽돌 96개. 모든 원형 벽돌은
아래
에서 올려봤을 때 정확한 비례로 눌려 보여야 한다.원을 누르는 방식은 의외로 간단하다.1. 먼저 가로 세로가 똑같은 정방형 abcd를 그린다. 정방형의 한변 길이는 인접한 종선 둘을 연장했을 때 제일 바깥 모눈의 ... ...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설명해준다. 대부분의 수술에서는 출혈이 불가피하다. 만약 의사가 강한 조명
아래
에서 오랫동안 수술하면서 붉은 피를 계속 보게 된다면, 빨간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피로해진다. 이때 하얀 가운을 입은 동료의사나 간호사를 바라보면 빨간색의 보색인 초록색의 잔상이 남는다. 이 잔상은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작게 끝을 날름거린다. 또 외국의 방울뱀 같은 종류는 머리 위에서 턱
아래
쪽으로 크게
아래
위로 흔든다.자식 사랑 끔찍한 비단구렁이뱀은 냉혈동물(체온이 일정치 않고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하는 동물, 변온동물이라고도 한다)이다. 우리는 이 사실 때문에 뱀이 매몰차고 냉정하며 자식에 대한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보이고 온 천지가 밀림으로 지평선에 닿아 있다.차는 한참을 굽이돌아야 천지 바로
아래
에 도착한다. 천지는 구름에 싸여 자신의 모습을 쉽게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폭포 쪽에서 올라오는 바람도 구름과 섞여 함께 오르고 있다.아! 백두산! 천지를 보지 못할 지라도 그렇게 그리던 백두산에 오른다.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한창인 그의 작업실을 찾았다.2000년 12월 17일 목성의 가장 큰 위성 ‘가니메데’의 표면
아래
에 소금물 바다가 존재한다는 흥미로운 소식이 전해졌다. 이 말은 곧 지구 외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하기 때문에, 이번 발견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그런데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던지는 순교 행위로 추앙됐다.벨라스케스의 작업실은 국왕부처가 기거하던 침실 바로
아래
층이었다고 한다. 가끔씩 들러서 화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격려도 했다. 군주가 예술가를 방문해서 어깨를 두들기는 일은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화가 아펠레스를 찾은 게 처음이었다. 르네상스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래서 해가 진 직후 금성의 고도는 약 40°나 될 만큼 높아서 밤 9시 반경에야 지평선
아래
로 사라진다. 이때 망원경으로 금성을 본다면 거의 반달모양이다. 밝기는 -4.5등급.금성은 한밤중 밤하늘에서는 볼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내려가 동지때는 거의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지게 된다. 이것을 천구에서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다.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A다. 해가 뜨는 곳이 매일 조금씩 변하기는 하지만 하루 만에는 별로 표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 한달 전에는, 즉 5월에는 틀림없이 해가 더 남쪽에서 떴을 것이다.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