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연구에 유용한 남아프리카산 두꺼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딱 알맞다. 아울러 커다란 난자는
세포
분열과정을 연구하는데도 이점이 많다. 만약
세포
분열을 인위적으로 막을 수만 있다면 암의 해결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암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제노퍼스와 가깝게 지낼 필요가 있다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수중에 잘 용해되며 독성이 높아 직접적인 치사효과를 유발한다. 이들은 생물의
세포
벽을 파괴하고 단백질과 결합하여 효소나 구조단백질에 영향을 준다. 또 지방족 탄화수소나 환형 탄화수소는 생물들에게 마취나 마비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중 용해도가 큰 저분자량의 ... ...
남녀의 성차는 뇌의 기능차에서 비롯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것으로 보아 성적이형핵은 남녀를 유전적으로 구별하는 특징은 아니고 호르몬에 의해
세포
의 수가 결정되는 곳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남녀의 성차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곳이 또 있다. 오른뇌와 왼뇌를 연결하는 뇌량. 여성은 뇌량 뒷부분의 팽대부가 부풀어 올라 있는 반면에 남성은 그렇지 않다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또 T림프구에 의한
세포
면역도 관찰되었다. 대개의 백신은 CD-4 활성은 있었으나
세포
독성 림프구인 CD-8의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종류의 gp160백신은 침팬지를 HIV로부터 보호하는데 성공했다.아직 감염되지 않은 사람에 대한 백신은 극히 초보단계의 수준(안전성과 면역성에서)을 보여주는데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공간에 수백곳의 PCS 중계국이 확보돼야 한다. 이를테면 PCS는 기존의 셀룰러방식의
세포
(cell)를 더 잘게 나눈 것이다.PCS 중계국은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손쉽게 세울 수 있다. 또 PCS방식의 전화기는 그 크기가 보다 소형화되고 적은 에너지로도 송수신이 가능하다.미국내에서 규모가 두번째로 큰 ... ...
알코올은 A형 간염을 예방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뿌리면 바이러스가
세포
막에 흡착하는 작용이 불가능하다. 알코올에 용해된 바이러스가
세포
에 흡착할 수 없어 간염이 예방되는 것은 아닐까 추측되고 있다.이 연구 결과로부터, A형간염에 감염될 위험은, 알코올의 섭취량에는 그다지 관계가 없고 알코올음료를 마시는 타이밍과 농도, 바이러스를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대한 해부학적 접근도 시도됐는데 이를 연구한 많은 학자들은 손 발 얼굴 몸통 나아가
세포
나 신경수준에 이르기까지 조화로운 황금비 내지 이에 근접한 비례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했다.뿐만 아니라 발레리나의 무용동작같은 인간신체의 움직임도 황금분할적 공간 속에서 표현되고 있다는 사실도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마련해주는데 있다.생태적으로 죽음을 생리적사망과 생태적사망으로 구분하는데 전자는
세포
조직 기관의 노화에 의한 사망을 의미하며, 후자는 질병 사고 먹힘 등에 의한 사망을 뜻한다. 흙속의 미생물은 다른 생물의 생태적사망의 요인으로서 작용해 특정 생물만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종(種) ... ...
체온저하증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게리 마빈과 스티븐 우드는 저산소(산소가 부족한) 조건에서도 이 단
세포
생물은 자신이 담겨진 용기의 온도가 낮은 곳에선 생존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바로 체온저하증이 이 원생동물의 생명을 보전토록 하는 것이다. 사람에게 있어 체온저하증은 특히 어떤 수술을 받을 때처럼 저산소증으로부터 ... ...
소아 당뇨병과 우유는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포함돼 있어 그 항체가, 또는 알부민을 공격하는 T림파구가 랑겔한스섬의 베타
세포
를 파괴한다는 이론은 아직 가설에 불과하다. 아마 93년부터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소아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3천명이상의 신생아에게 생후 9개월간 모유와 우혈청알부민을 뺀 특별식을 제공할 예정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