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손에 손잡고 한 줄로 늘어서면 적도 기준으로 지구를 131바퀴 돌 수 있다. 지구와 달 사이는 13.7번 왕복할 수 있다. 지구에 존재하는 모다. 적어도 지구에는 그보다 훨씬 넓은 땅이 준비돼 있어 보인다. 인구는 앞으로 얼마든지 더 늘어도 되지 않을까.생태지리학자 제래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경우 2100년의 인구는 가까스로 100억을 넘을 예정이다.10년 사이에 인구에 대한 예측이 조금은 희망적으로 바뀐 셈이다. 인구 증가 추세가 언제 그칠까.국제인구과학연구연맹 자문위원인 카트린 롤레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세계의 인구 동향을 다룬 저서 ... ...
-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72개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에는 음식이나 숙주의 성별 등 미생물에게 영향을 주지만 종 사이에는 관계는 없는 ‘숨은 요인’ 312개가 포함돼 있었다. 기존 어떤 방법으로도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요인도 188개나 발견됐다.연구팀의 파디스 사베티 하버드대 시스템생물학센터 교수는 “많은 데이터가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속도의 변화에 대한 저항, 즉 관성 또는 질량을 의미한다.”(‘우주의 풍경’ 154쪽, 사이언스북스)입자가 힉스와 상호작용해 운동을 방해받는 정도가 클수록 질량도 크다는 얘기다. 질량을 부여하는 힉스가 없다면 입자는 모두 광자처럼 빛의 속도로 날아다닐 것이다. 그러면 원자도 분자도 있을 수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빈 공간이 사라지기 때문이다.전형적인 중성자별은 대략 태양의 1.4배에서 2배 사이의 질량을 지니고 있으며 반지름은 태양의 6만분의 1에 불과한 약 12km정도다. 중성자별의 밀도는 3.7×1017∼5.9×1017kg/m3 정도로 원자핵의 밀도인 3×1017kg/m3와 비슷하다. 즉 중성자별은 거대한 원자핵인 셈이다.중성자별 ...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00% 딱 맞는 보형물을 만드는 일은 불가능했다.하지만 3차원으로 뼈 모형을 인쇄하고 뼈 사이에 있는 공간을 거푸집으로 삼으면 효율적인 보형물을 만들 수 있다. 현재 전문가들은 레이저를 쏘면 녹았다가 상온에서 굳는 티타늄 파우더로 인체 보형물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캐나다 맥길대 ... ...
-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부드러운 지휘자의 손놀림과 한꺼번에 오르락내리락 움직이는 바이올린 활 군대 사이사이로 1~2개씩 배치된 관악기들을 보면 문득 궁금해진다. 플루트나 피콜로는 옆으로 들고 부는데, 왜 클라리넷과 오보에는 앞으로 부는 걸까.플루트는 양쪽 끝이 모두 열려 있다. 구멍이 관의 옆쪽에 있지만 ...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원했다. 호빵과 코코아차처럼, 학교와 도로를 건설할 때의 비용과 편익을 구해 둘 사이의 비율을 구한다. 이 비율이 1보다 크면 편익이 비용보다 큰 것이므로 경제적이고, 작으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당연히 비율의 값이 크면 클수록 더 경제적이다.도로를 낼까? 도서관을 지을까?비용편익을 구하는 ...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다리는 현수교이기 때문이다.현수교는 다리 양 쪽에 높고 튼튼한 기둥을 설치하고 그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한다. 이 케이블에 다리 상판과 연결된 줄을 매달아 상판을 단단히 잡고 있다. 현수교의 케이블은 아치모양으로 굽어져 있다. 바로 이런 구조로 인해 긴 상판이 받는 하중을 양쪽의 ... ...
- 재미가 쏙쏙, 창의력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블록 조각을 찾아야 한답니다. 이게 무슨 수업이냐고요? 블록을 맞추면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공간지각능력을 높일 수 있는 특별 수업이지요. 상상하는 대로, 창의력이 쑥쑥!블록 맞추기가 재미있는 이유는 친구들이 만들고 싶은 것, 상상한 것을 마음껏 만들 수 있기 때문일 거예요.지니움의 ... ...
이전417418419420421422423424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