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점점 복잡해져 가는 도로교통의 혼잡을 덜기 위해 '스스로 알아서' 제어하는 지능형 교통관제시스템이 필수적이다.교통문제의 해결이 단지 도로건설이나 교 ...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자동안내시스템의 개발을 서두르는
미래
지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심각한 상태에 이른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을 생물공학기술로 씻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은 마치 보약처럼 생태계에는 거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우리 인류는 지구상에서 과학기술문명을 ... 환경생물공학은 우리가 살고있는 단 하나뿐인 지구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현재와
미래
의 기술이다 ... ...
2.
미래
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러한 의지로 연구되고 있는 기술 중에서 21세기 초반에 구체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미래
의 반도체 기술을 알아보자.양자소자-원자를 제어한다반도체소자의 초고집적화가 가능했던 것은 이들이 요구하는 선폭가공기술인 미세형상 형성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현재 연구개발에 성공한 64MD램 ... ...
2000년대 벽에 도전하는 첨단 반도체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64메가D램이 개발됨으로써 국내 반도체산업은 적어도 메모리분야에서는 세계 정상권에 올라섰다. 「첨단산업의 쌀」에 비유되는 반도체분야에 뒤늦게 ... 계기로 현재의 반도체 기술수준과 앞으로 이 기술이 부딪힐 한계,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미래
의 반도체 연구 흐름을 정리했다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습을 밝히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깊어 가는 가을 밤 밤하늘 별을 보며 우리의
미래
에 대해 한번쯤은 조용히 공상에 잠겨보는 것도 즐거운 일일 것이다.패가수스를 길잡이로자, 이제 하늘을 보면서 이달의 별자리를 알아보기로 하자. 이 달에 알이볼 별자리들은 모두 희미한 별들로 이루어져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꿈과 지성활동의 힘은 위대하며 인류를 창조적인
미래
로 인도해 줄 것이다.여기 또하나
미래
를 설계하는 과학인의 꿈이 있다. 인간의 생명설계도를 밝혀내려는 생명과학자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호기심은 하루아침의 꿈이 아니다. 아마도 인류가 지구상에 생존하는 한 계속 꾸게될 꿈이다. 21세기를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한글표현문제, 한자수용, 국내 통신망의 정보전송품질, 기존 프로토콜과의 호환성문제,
미래
확장성, 단말기의 시장성, 다른 서비스와의 관련성을 고려한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컬러컴퓨터 대중화로 활기비디오텍스 서비스는 PC통신에서부터 시작된다. 기존의 PC통신 서비스가 단순한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드레이크는 "되도록 여러가지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 그래야 그중 하나가
미래
인들에게 바로 해석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아무튼 핵폐기물처리장 주변에 세워질 스톤헨지에는 '위험'(Danger)이라는 단어가 인각될 것이다.물론 구조물에 어떤 표식을 할까를 고민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 될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해양환경보호와 해양의 합리적 이용을 일반인에게 일깨워주기 위한 해양과학관이 국내에도 곧 건립될 예정이다. 이와관련 프랑스의 선진 ... 있다.노지카를 방문한 후 사람들은 무의식중에 "인류는 원하든 그렇지 않든 바다의
미래
를 책임진다"는 의미심장한 교훈을 마음속에 간직하게 된다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물리학과에도 20% 가까운 여학생들이 등록한 상태이고 공대에도 적지않은 여학생들이
미래
의 여성엔지니어를 지향하고 있다.여성들의 이공계 대학 진학은 꾸준히 늘고 있는데 특히 1982년부터 시작된 대학의 졸업정원제는 그 기폭제가 되었다.남녀비 8대 5로"서울대 공대의 경우 77학번은 통틀어서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