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1. 귀걸이 단 남자가 좋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나오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의 가장 큰 목적은 창의성 개발과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를는데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실감한다.지난 봄에는 이런 연구실 분위기에 나만 뒤질 수 없다는 생각에 가족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승용차를 스포츠카로 바꾸었다. 요즘에는 가르마를 오른쪽으로 바꾸고 ... ...
4. 프로젝트 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분야의 기술자로서 산경험을 쌓고 자질과 협동심을 키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신의
능력
과 주어진 환경에 맞는 프로젝트 과제를 선정해 뜻이 맞는 친구들과 함께 협력연구를 수해함으로써 설정한 목표를 이루는 일이야말로 산교육이라고 본다.프로젝트 랩은 우선 희망분야가 같은 학생들이 2- ... ...
가상실험용 소프트웨어 '물리마을'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물리마을은 사용자가 직접 실험조건을 변화시키며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실험조건을 설정할 수 있 ... 제이슨테크에서는 이를 보완한 ‘물리마을 1.1’을 9월에 선보일 예정. 새 버전에서는 수학
능력
시험에 대비한 문제도 수록할 계획이다. 문의:02-421-949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흥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이아몬드에 따르면, 커다란 페니스는 사내다움, 즉 생식
능력
을 다른 남자에게 과시하는 신호로서 진화되었다.그러나 페니스의 크기는 질의 크기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현재보다 더 큰 페니스를 갈망하는 사내들은 팰로카프처럼 터무니없이 큰 장식품으로 ... ...
물이야기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하더라도 자정작용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 오염물질은 분해돼 없어진다. 그러나 물의 자정
능력
은 한계가 있다. 오염물질이 한꺼번에, 또는 계속해서 많이 몰려들면 자정작용만으로는 이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없게 되어 물은 차츰 더러워진다.물 오염 사례2차 세계대전 말기에서 대전 후에 걸쳐 일본 ... ...
④ 이동통신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있다. 새로운 테크놀러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동통신 활용
능력
을 두배로 키워줄 사항을 문답으로 알아본다.1. 도심 빌딩 지하나 지하철에서 삐삐는 들어오는데 휴대전화는 안되는 이유는?기본적으로 지하공간이 이동통신의 대표적인 사각지대가 된 이유는 주파수 특성에 ... ...
2. 잠재의식을 키우는 창의성 교육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창의적 사고의 진행은 의식적으로 꼭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창의적인
능력
으로부터 창의적인 결과를 끌어내는데는 앞서 말했듯이 창의적인 노력 외에 간단히 정의할 수 없는 α라는 인자가 있다. α는 의식적으로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창의성 교육은 잠재의식 ... ...
5. 화성 생명체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흡수한다.소비자들은 먹이를 찾아 혼자서 다닌다. 뇌의크기는 매우 작고 따라서 지적
능력
이 떨어진다. 혹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이들은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적기 때문에 변신을 해 체내수정으로 새끼를 낳는다. 태어난 새끼는 얼마동안 어미의 몸 아래서 자란다. 그 이유는 아직 새끼의 몸에 ... ...
3. 점쟁이 예언을 상대론으로 풀어라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지식만 전달하고 문제 푸는 학생들에게 과거의 지식만 전달하고 문제 푸는 기계적
능력
정도만을 향상시킬 것이다. 결국 일반물리학을 통해 학생들에게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사고력과 미래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력은 키울 수 없다. 불행히도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일반물리학 강의가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천장에 몸을 거꾸로 돌려 안착할 수도 있다. 사람이 만들어낸 그 어떤 날들도 이 만큼의
능력
을 구사하지는 못한다.로봇 연구자들이 곤충을 주목한 또 한가지 이유는 이들이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포유류인 인간은 뇌 한 부분에만도 수백억개의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다. 반면 곤충은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