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팀과 마찬가지로 LHC의 양성자가속기에서 발사한 중성미자를 검출했다. 실험 기간이 짧아 7개의 중성미자만 검출돼 신뢰성이 약한 게 흠이다. 3년에 걸쳐 이뤄진 오페라는 1만 6000개의 중성미자가 검출됐다.이카루스의 대변인인 카를로 루비아 박사(토륨원전 ‘에너지증폭기’의 제안자. 과학동아 201 ... ...
- 생물학의 대가, 에세이를 쓰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유행했던 ‘벌집붕괴증후군(CCD, 벌집이 이유 없이 사라지는 현상. 과학동아 2011년 7월호 기획 ‘벌의 죽음’ 참조)’을 연구한 유명한 학자로, 능청스러운 유머가 일품이다. 3년 전 미국에서 강연을 듣고 인터뷰할 기회가 있었는데, 친근한 태도에 ‘대중과 호흡하는 법을 아는 과학자는 역시 ... ...
- 창의적 미래기업 이끌 꿈나무 키운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나눠 이뤄지며, 학기 중(3월~7월, 9월~12월)에는 온라인 교육이, 방학 중(8월과 1월에 각각 7박 8일)에는 오프라인 집중교육이 운영된다. 기본 교육과정의 세부 운영은 다음과 같다.어떻게 선발할까요?•모집인원: 80명 (최종 선발 인원은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음)•지원자격: 중학생, 정규학교 ... ...
- 규칙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다음 두 개의 원 속에 있는 숫자들은 똑같이 어떤 특별한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와 B에는 어떤 숫자가 들어가야 할까요? A=4, B=1 원 속 도형 중 아래쪽에 ... 6/2=3, (6+4)/2=5, (6+4+8)/2=9, (6+4+8+2)/2=10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 도형은 2/2=1(B), (2+8)/2=5, (2+8+4(A)) ...
- [교과연계수업] 달콤한 유혹, 단맛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갈락토오스(당도 0.6)달팽이 점액이나 세균의 세포벽, 한천에 들어있다. 포도당(당도 0.7)포도에 많다고 해서 포도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과일과 식물에 들어있으며 우리 몸이 에너지를 낼 때 쓴다. 과당(당도 1.4~1.7)과일과 꿀에 들어있다. 음료나 아이스크림 같은 가공식품에 많이 쓰이고 있다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사람이 나온다. 사람들의 키는 그 사람의 소득에 비례한다. 평균소득을 가진 사람이 약 1.7m이라면 이보다 소득이 작으면 키가 더 작고, 많으면 키가 더 크다.맨 먼저 나타나는 사람은 소득이 0보다 적은 사람이다. 이 사람은 땅 속에 머리를 파묻고 거꾸로 나타난다. 그 다음으로 키가 1m가 안 되는 ...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요정 5는 아니야.요정 5 요정 2 아니면 요정 8이 갖고 있어.요정 6 요정 5가 갖고 있어.요정 7 요정 2는 아니야.요정 8 요정 2도 아니고, 나도 갖고 있지 않아.요정 9 요정 8은 진실을 말하고 있어.여기까지 한 명씩 말한 요정들이 다시 합창했다.“우리 중 진실을 말하는 건 3명뿐이야. 열쇠를 갖고 있는 건 ... ...
-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출발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독자기자단 발대식이 열린다고 합니다. 놀라지 마세요. 독자기자단의 경쟁률은 무려 7:1! 지원자 중에는 고등학생은 물론 대학생, 대학원생, 수학선생님까지 있었다는 사실! 학년과 나이에 상관없이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기자단 자리를 탐내고 있었나 봅니다. 전체 지원자 중 남학생은 51%, ... ...
- 7년 만의 태양폭풍, 지구를 강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국립전파연구원은 1월 28일 새벽 3시 25분쯤에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로 태양흑점이 폭발했다고 밝혔어요. 이 폭발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의 단파통신이 1시간 정도 끊겼어요. X선과 방사능을 포함한 태양폭풍이 지구로 날아와 지구의 통신장비를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방해했거든 ...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물에 빠지지 않는 이유는 이 공기쿠션이 물을 밀어내기 때문이다(초소수성). 지난해 7월 중국 하얼빈공대 연구팀은 1.5kg짜리 소금쟁이 로봇을 개발했다. 소금쟁이의 발 끝을 본떠 물을 밀어내도록 설계한 것이다.[물에 빠지지 않고 수면으로 빠르게 뛰어가는 바실리스크 도마뱀. 자기 몸무게의 3배나 ... ...
이전4164174184194204214224234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