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발사
실험
을 시작했다. 그가 1727년 또는 1728년에 작성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대포의 발사
실험
결과에 대한 원고에서 *자연로그의 밑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로 e를 열 번 이상이나 사용했다. 또 오일러는 1731년에 골드바흐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 수의 *쌍곡선에 로그를 취하면 1이 되는 수’에 문자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입자를 정확한 양으로 뿌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쓰는 구름 입자 생성기는
실험
실 수준이지만 지구공학에 사용하려면 규모가 더 커져야 한다.미국 기상연구대학연합의 존 라뎀 박사는 2008년 영국 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철학회보’에서 “구름의 양이 현재보다 2배 많아지면 이산화탄소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정상적으로 자라기 시작했고, 일주일 후 수확할 때까지 눈에 띄는 이상이 없었다. 이
실험
은 우주공간에서 진공상태에 식물이 노출됐을 때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보기 위해 실행됐다.식물과 특수한 박테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생명체는 진공상태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지 못한다. 사람의 경우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터널만 뚫으면 쉽게 지하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검출기를 지하에 설치해야
실험
을 방해하는 우주선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운명을 가를 2%레노는 원자로에서 각각 290m, 1.4km 떨어진 곳에 있는 똑같은 검출기 두 대로 이뤄져 있다. 영광원전의 원자로 하나에서는 1초에 1000경(1019) 개의 ... ...
2010 ‘몰래산타’ 대작전!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평생 잊지 못할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아이들과 함께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실험
을 마친 후 산타와 아이들은 모두 함께 어우러져 노래하고 춤을 추며 크리스마스이브를 보냈습니다. 훈훈한 사랑이 한데 모여 겨울 추위도 날려 렸습니다.사이언스메세나의 2010년의 대미를 장식한 울산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일이 반복되면 결국 프로테오믹스의 신뢰를 떨어뜨리게 되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실험
의 표준을 정했습니다.”세계 프로테오믹스를 이끌고 있는 단체가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HUPO)다. 백융기 교수는 이 단체를 처음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2009년에는 회장을 맡았다. 세계에서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서 세포를 이루는 바이오 네트워크가 외부 충격(예를 들어
실험
실에서 단백질 형성 유전자를 없애는 식)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저항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바이오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실제 바이오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토폴로지, 즉 네트워크의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계절성플루바이러스와 심지어 AI바이러스까지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로
실험
동물에 치사량의 바이러스를 주사한 뒤 이 항체를 넣어주자 병에서 회복됐다. 연구자들은 “신종플루의 항체는 바이러스 단백질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가 ... ...
광우병 공기로도 전염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다만 노출된 시간에 따라 발병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이 달랐다.아구지 교수는 “이
실험
결과가 대기를 통해 사람과 소가 광우병에 전염된다는 증거는 아니다”라며 “다만 밀폐된 공간에서 광우병에 걸린 소와 오랜 시간 함께 있을 경우 광우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모든
실험
동물에서 퇴행성 관절염 증상이 나타났다. 반대로 이미 퇴행성 관절염에 걸린
실험
동물의 연골 세포에서 히프투알파 유전자를 없앴더니 연골 조직의 손상이 멈췄다.전 교수는 “히프투알파가 연골 세포를 망가뜨리는 다양한 단백질들을 직접 활성화시켜 퇴행성 관절염을 일으킨다는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