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03
찌릿하거나 따끔함을 느끼는 정도에 그치겠지만 ‘번개’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미국
의 과학자 벤저민 프랭클린은 1752년 9월 번개 치던 어느 날, 열쇠를 매단 연을 전하를 모으는 병에 연결해 날려서 번개가 전하의 이동에 의해 생기는 전기현상임을 증명했다. 프랭클린은 번개 현상의 결과를 통해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03
길이와 배꼽 아래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가 1:1.618에 해당한다.성형외과 의사였던
미국
의 스티븐 마쿼트 박사는 오랫동안 아름다운 얼굴을 연구했다. 그 결과 황금비로 가득 찬 미인의 얼굴 구조를 알아냈다. 이 구조에서는 두 눈동자를 이은 선에서 앞니 끝 사이의 거리와 앞니 끝에서 턱 끝까지의 ... ...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03
많이 들려 줬습니다. 그러면 이제 포의 이야기를 들어 볼까요?작가소개에드가 앨런 포는
미국
의 시인이자 소설가입니다. 포는 어린 시절에 부모를 잃고 다른 집에 양자로 들어갔으며, 성인이 되어 아내를 잃은 뒤에는 죽을 때까지 불우하게 살았습니다. 40년이라는 짧은 인생 동안 많은 공포소설과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시험 비행에 성공했답니다.❶ 스크램제트는 미사일용 엔진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미국
은 지난 12월 9일 스크램제트 미사일 ‘X-51A(흰색미사일)’의 시험비행을 실시했다.❷ 현재 전투기에 이용되는 제트엔진은 소리의 속도의 2배 이상의 속도를 내기 어렵다. 하지만 성능 개선을 위한 실험은 계속되고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02
O형이면서 Rh-형인 혈액을 만드는 배아줄기세포를 선별했다. 보통 혈액 1파인트(470cc)는
미국
에서 200달러(약 22만 원), 우리나라에서 약 10만 원 정도다. 현재 기술로는 혈액 1파인트를 만드는 데 1000만 원 정도 들어간다. 따라서 혈액제조 비용을 100분의 1 수준으로 낮춰야 상업성이 있다. 정 사장은 ... ...
TV와 수명, 맞바꾸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002
사람은 보통 사람보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혈당량이 눈에 띄게 높다는 조사 결과를
미국
심장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서큘레이션(Circulation)’ 1월 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1997년에 하루 2시간 이상 TV를 시청하는 25세 이상의 성인남녀 8800명의 혈액을 채취한 뒤, 7년 뒤인 2006년 이들의 혈액을 ... ...
블랙홀 ‘식성’, 생각보다 까다롭다
과학동아
l
201002
어마어마한 중력이 빛까지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예상외로 ‘식성’이 까다롭다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천문학과 로만 슈체르바코프 박사팀은 ... 튕겨 나간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월 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제215회
미국
천문학협의회 정기모임에서 발표됐다 ... ...
항공기 테러 막는 첨단 ‘전신스캐너’
과학동아
l
201002
암스테르담의 스키폴 공항에는 몸속을 샅샅이 훑어볼 수 있는 전신스캐너까지 등장했다. 앞으로
미국
을 방문할 모든 승객은 의무적으로 이 전신 스캐너를 통과해야 한다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02
시작했다. 중국은 앞으로 고속철도에 우리 돈으로 100조 원 이상을 쏟아 부을 계획이다.
미국
역시 6개 구간의 고속철도 건설계획을 내놓았다.“사실 우리나라는 도로에 비해 철도에 대한 투자가 미미한 편이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양상이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만.”김 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 ...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
과학동아
l
201002
문제는 독자를 너무 우습게 보는 것 같으니까 그림만 하나 그려 놓는다. 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