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스페셜
"
아이디어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늑대의 가축화, 즉 개가 되는 과정을 은여우로 압축 재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아이디어
를 떠올렸고 1959년부터 본격적인 실험에 들어간 것이다. 그 뒤 50세대(1년이 한 세대다)가 넘는 선별과정을 거쳐 온순한 여우가 만들어졌다. 한편 1960년대 후반부터는 거꾸로 더 사나운 여우를 선별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소실점과 원근법을 활용해야 보기에 시원한 구도가 나온다. 이번 표지 사진은 두 가지
아이디어
를 접목해 푸른 빛을 내는 필터를 씌운 인공 조명을 쓰고, 망원렌즈를 단 카메라 조리개를 한껏 열어서 ‘쿨한’ 푸른빛이 별빛으로 멀리서 영롱하게 기기를 비추는, 미래적인 느낌의 사진을 연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읽는 순간 라마찬드란 교수는 환상사지 환자에게서도 같은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아이디어
가 떠올라 교통사고로 왼팔의 팔꿈치 아랫부분을 잃은 뒤 환상사지를 겪고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다음은 책에서 그 장면을 기술한 부분이다. 내가 면봉으로 그의 뺨을 문질렀다. 박사) 어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즉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이하 PPI)를 만들면 위산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
가 나왔다. 그리고 1975년 이런 약물 티모프라졸(timoprazole)이 처음 만들어졌고 이를 개선한 약물이 최초로 상용화된 위산분비억제제 오메프라졸(omeprazole)이다. 오메프라졸은 벽세포 안으로 뚫고 들어가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나는 그가 이런 우연한 행운을 대단한 기회로 만들었다는 점을 매우 높게 산다. 그의
아이디어
는 기발했다. 펜로즈의 블랙홀 특이점은 태초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시간의 방향을 (+)로 보는 것이었다. 호킹은 이 시간의 방향을 (-)로 돌려 보면 우주 초기가 되고, 우주 초기의 특이점을 알 수 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1931년 시작된 세계적인 과학 학술대회로, 전세계 석학이 모여 최신 연구 동향 및
아이디어
를 공유하고 관련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는 자리다. 올 한해 관련 세미나를 비롯해 고든 리서치 컨퍼런스 프로그램 300여 개가 열릴 예정이다. 프로그램 일정 확인과 참여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www.grc.org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실험을 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그런데 문득 파란빛의 모순을 설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
가 떠올랐다. 즉 파란빛의 수면각성주기에 대한 효과는 생리적 (또는 무의식적) 차원의 작용이라면 스트레스 완화 효과는 심리적(또는 의식적) 차원의 작용이라는 것이다. 즉 전자의 경우 파란빛을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
2017.10.22
Grant et al., 2011). 하지만 이미 구성원들이 열정이 넘치고 다양한 의견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로 넘치는 조직의 경우에는 외향적인 리더보다 내향적인 리더가 더 그룹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에너지와 추진력이라는 외향성의 장점의 이면에는 사람들의 의견을 잘 듣지 않고 자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짐작할 수 있다. 글래스고대에서 강사로 지내며 드레버는 이론물리학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구상하는 재미에 푹 빠져 지냈다. 그러던 중 1969년 미국 메릴랜드대 조제프 웨버 교수가 은하중심에서 중력파를 검출했다는 소식을 접한 드레버는 더 정밀한 장비를 만들어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만든 습관이란다. 이렇게까지는 못해도 신문이나 책을 읽다가 멋진 구절을 발견하거나
아이디어
가 떠오르면 바로 메모를 하거나 스크랩(또는 휴대전화 촬영)을 해야 하는데 게으른 필자는 그것도 미루다가 잊어버리곤 한다. 그래서 막상 이런 구절을 인용하면 딱 좋은 글감을 찾은 뒤에야 그때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