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스페셜
"
관여
"(으)로 총 5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실렸다. 미국 휴스턴감리교도연구소와 일본 오사카대 등 공동연구자들은 난소암에
관여
하는 단백질들 가운데 효과적인 약물 표적을 찾는 연구를 진행했다. 암세포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한 결과 HER2 유전자의 발현 증가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 유전자의 산물인 HER2 단백질은 세포막에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간암 환자의 무려 78%, 중국은 47%가 쥐방울덩굴과(科) 약초 복용으로 일어난 돌연변이가
관여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초의 피해를 보고 있는 것 같다. 지나친 음주나 간염바이러스 감염을 간암 발생의 주된 환경 요인으로 알고 있었던 필자로서는 충격적인 수치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는 간암의 1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원전 폭발 사고 주변의 바다에서 잡힌 수산물을 수입하지 않겠다는 걸 제3자인 WTO가
관여
해 번복하라고 판결을 하니 좀 지나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정부는 상소를 할 것 같지만 설사 최종심에서도 패소해 판결을 따르게 된다고 해도 일본 수산물 수입에 별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척수의 통증 회로도 활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노세보 통각과민 효과에
관여
하는 이 회로를 ‘rACC-PAG-척수 축’이라고 이름 붙였다. 즉 제삼자의 눈에는 노세보 효과가 엄살처럼 보이지만 당사자는 정말 그렇게 느낀다는 것이다. 얼마 전 뉴스에서 서울대병원이 진료시간을 5분에서 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연구하는 사람들은 동식물의 24시간 주기처럼 복잡한 행동에는 수백 가지의 유전자가
관여
한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이 발견은 충격이었다. 두 사람은 1971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은 논문에서 “우리가 찾아낸 서로 전혀 다른 행동을 보이는 세 가지 일주리듬 돌연변이체가 동일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일어난 변이를 1년 안에 재현하는 실험인 셈이다. 포도에서 안토시아닌을 만드는데
관여
하는 DFR-B 효소의 결정 구조에서 촉매 활성 자리를 클로즈업한 이미지다. 효소 활성에 190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ro190A)이 중요하다. 나팔꽃 DFR-B에서는 195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장내미생물 구성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도시 인구의 장에는 스트레스에
관여
하는 균인 ‘박테로이다세’가 장내 미생물의 21%를 차지하며 지배적이었지만,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
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아직은 내 건강관리로 이어질 방법이 마땅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시작해 14일이 되자 완전히 사라졌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에서 ‘PlexA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 스위치를 끄면 성장과정에서 회로가 유지돼 생쥐도 사람처럼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게 될까. 이 유전자의 스위치가 꺼진 변이 생쥐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건 아니다. 한편 선충에서 열감각(온도) 정보를 전달하는 AFD 뉴런이 습도 해석에도
관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FD 뉴런에서 발현하는 tax-4라는 유전자를 고장 내면 선충은 습도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선충이 툰베리의 가설을 입증한 첫 사례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사람의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