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형
부문
타입
양식
형식
품종
장르
뉴스
"
종류
"(으)로 총 3,636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구건조증 환자, 눈에 사는 '미생물' 구성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사용했다. 이 분석법은 미생물 염기의 특정 부분만을 배열해
종류
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건강한 사람의 눈에는 스트렙토코커스와 페도박터란 미생물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었다. 반면 안구건조증 환자에는 아시네토박터 미생물이 미생물 생태계에서 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시도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한편 이런 애착유형은 한 번 정해지면 평생 가는
종류
의 것이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려움 없이 마음껏 사랑하고 사랑받는 경험 자기 자신과도 사이 좋게 지내는 경험을 쌓아보도록 하자. Feeney, B. C., & Collins, N. L. (2001). ... ...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어른에게 더 치명적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있다"고 했다. 현재 그는 휴먼게놈프로젝트처럼 한 사람이 갖고 있는 모든 T세포
종류
를 알아보는 '면역 기억 백과사전(Human TCRome project)’를 진행 중이다 ... ...
'면역 백과사전' 만든다…"인간이 앓았던 질병 전부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센터장이 T세포의 면역 반응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우리 몸의 T세포
종류
는 분류됐지만 아직 어떤 질병에 어떤 T세포 그룹이 반응하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신 센터장은 "면역 기억 백과사전이 완성되면 우리 몸에서 T세포 지도를 만들어 특정 질병과 매칭할 수 있다"고 ... ...
장애물 알아서 피해 안전하게 착륙하는 AI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기존 비행체 착륙 연구에서는 대체로 한
종류
의 센서로 착륙 지점을 찾았지만 연구팀은 2
종류
의 센서로 드론이 안전한 장소를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 카메라의 시각 정보와 라이다 센서의 거리 정보를 동시에 활용해 신뢰도가 높은 환경 정보를 얻는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드론은 카메라와 ... ...
물 있는 곳 어디든 에너지 만드는 '수중 자가 발전'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재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이온이 존재하는 모든 전해질 환경에서 이온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수중 자가 발전기의 기계적 진동수를 제어해 최적의 성능을 갖는 맞춤형 발전기 설계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연구팀은 “수중 자가 발전기는 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에너지를 만들 수 있어 ... ...
뒷마당 사는 곤충에게 얻은 '투명 망토'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nm, 10억분의 1미터)로, 지름 200나노미터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조와 크기는 매미충의
종류
와 관계없이 거의 비슷했다. 연구팀은 브로코솜 모형에 다양한 파장의 빛을 쏘며 관찰했다. 그 결과 가시광선은 브로코솜과 부딪히면 산란했고 자외선은 브로코솜 내부의 빈 구멍에 갇혀 효과적으로 ... ...
개미로 단백질 보충해볼까…
종류
마다 '맛' 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생성된 분자이온 등을 분석하는 질량분석법이 함께 실시됐다. 분석 결과 개미들은
종류
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품고 있었다. 검은 개미에게선 산과 덩굴의 냄새가 났다. 이는 개미가 가진 독샘에서 분비되는 화합물인 포름산의 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개미들이 의사소통에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03.16
성별을 바꾸는 군락과 바꾸지 않는 군락은 서로 불과 1~10m 떨어져 있습니다. 두
종류
의 군락 사이에는 환경적 차이도 없고 외관상 차이도 없습니다. 그러면 왜 똑같은 이들 중 73.1%는 매년 성별을 바꾸는 걸까요. 진화의 관점에서 종의 특성이 변화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변했더니 그 종이 ... ...
소라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l
2024.03.16
폐기물로 된 '인공 껍질'을 가진 386마리의 집게를 식별했다. 이후 이들의 종과 집의
종류
를 구분했다. 그 결과 인공 껍질은 태평양, 대서양 등 전 세계 바다에서 쓰이고 있었다. 육지 집게 16종 중 10종에서 인공 껍질이 관찰됐고 특히 플라스틱 껍질은 전체의 84.5%를 차지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