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조
처리
조치
운전
제어
위조
허구
뉴스
"
조작
"(으)로 총 1,36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과 박테리오파지가 주기율표 원소 55종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떨어졌다. 이 특훈교수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을 유전적으로
조작
해 미생물이 금속 이온을 해독하는 과정에서 나노재료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특훈교수팀 외에 해외 연구팀도 이와 유사한 연구결과를 학계에 여럿 보고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무기 ... ...
타고난 텔로미어 너무 길면, 암 생길 위험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12.03
TIN2 단백질의 생성 정보를 가진 유전자다. 이와 똑같은 돌연변이가 생기게 유전자를
조작
해 배양한 세포는 여지없이 텔로미어 길이가 너무 길었다. 실제로 네덜란드 가족 암 환자의 텔로미어 길이는 상위 1%에서도 위쪽에 들 만큼 길었다. 더랑어 교수는 "긴 텔로미어를 갖고 태어나면 암이 ... ...
수상 취소 인정 못하는 황우석 "상은 반납, 상금은 못 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추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었다. 하지만 곧 황 전 교수의 논문이
조작
됐다는 사실이 밝혀져 서울대는 2005년 황 전 교수를 파면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2006년 황 전 교수의 제1호 최고과학자 지위를 공식 철회했다 ... ...
신뢰 흔들린 아스트라제네카 “추가 검사는 하지만 공급 지연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7
임상 시험에 돌입한다. 기존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발표한 임상 3상 결과가
조작
이나 부풀림이 없다는 입장은 그대로 유지했다. 파스칼 소리오트 아스트라제네카 최고경영자(CEO)는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저용량 접종’에 관한 추가 임상 시험을 할 예정이라고 ... ...
김치 '쓴맛의 비밀' 글루코시놀레이트 신속 판별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11.26
94% 수준에 달한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최학종 세계김치연구소 소장 직무대행은 "
조작
이 간편하고 신뢰도까지 확보해 쓴맛 배추 선별 등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술로 활용이 기대된다"며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효율적인 분석으로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는 기능성 김치가 개발되기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데이터는 버리려는 압력이 부지불식중에도 작용할 수 있다. 아주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조작
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런 식으로 계속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그 결과는 결국 실험자가 원하는 이상치에 수렴할 것이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멘델은 여전히 유전학의 ... ...
서울대·이대 연구자들 논문 무더기 철회되고도 해명도 안해…국제적 망신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데이터, 증거 위에 만들어 지고,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연구의 진실성”이라며 “데이터
조작
은 우리들은 물론, 환자들에게 대단히 심각한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고 지적했다. 하다드 교수는 “연구팀들로부터 납득할만 한 답변을 듣지 못한 것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며 “소속 연구자에 대해 ... ...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최고 과학기술인상 16년 만에 취소…상금 3억원 반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추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었다. 하지만 황 전 교수의 논문
조작
이 밝혀지며 서울대는 2005년 황 전 교수를 파면했고 과기부도 이듬해 황 전 교수의 제1호 최고과학자 지위를 철회했다. ... ...
부정논문 감시 사이트 서울대 연구자 논문 데이터 부적절 사용 의혹 추가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의혹 서울대 자체 조사 착수 "일부 실수 인정") (2020년 10월19일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
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이번에 추가로 의혹이 제기된 논문은 크게 두 종류다. 하나는 백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으로 총 3편이 제기됐다. 2005년 ‘네이처’에 발표된 ... ...
제이엘케이 "약물 부작용 예측 AI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용법 수정도 함께 설계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고 설명했다. 이 플랫폼은 유전자
조작
을 통해 신체 여러부분으로 다시 분화가 가능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인공 조직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신약의 독성을 미리 탐지하는 기술도 가지고 있다. 해당 기술은 특허등록까지 완료했다. 제이엘케이는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