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6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의료정보 새지 않을까"…유명무실한 상급종합병원 개인정보 보호제도 1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나타낸 그래픽.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환자정보 유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를 의무 지정하도록 한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지만 현장에선 제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대다수 병원이 임상교수를 겸직자로 지정한 채 전문 인력을 확보하지 ... ...
수포자 사라질까…뇌 특정 영역 전기자극했더니 "수학 학습 효과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어려움을 겪는 아이.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뇌의 특정 부위 연결성을 조절하는 비침습적 전기 자극이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로이 코언 카도시 영국 서리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전기 자극을 통해 뇌의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와 후두정 ... ...
'먹는 레이저'로 식품·약물 모니터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이용해 레이저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식용 재료만으로 레이저를 개발했다. 삼켜도 인체에 무해한 세계 최초의 먹을 수 있는 레이저다.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마트야스 휴마르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 수학·물리학과 교수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재발 미리 본다…'백혈병 모사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예측할 수 있는 ‘면역계 보유 백혈병 칩’이 개발됐다. 백혈병을 나타낸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의 부작용을 정밀하게 예측하는 백혈병 모사체가 개발됐다. 실제 환자 체내와 유사한 골수와 면역 환경을 동시에 구현해 CAR-T 치료의 효과를 미리 평가한다. ... ...
유전자가위 오작동 줄였다…배상수 서울대교수 연구팀, ‘Correct-Cas9’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단백질 공학 전략을 개발했다. 유전자가위 기술을 나타낸
이미지
. 스웨덴 왕립과학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 유전자가위의 낮은 표적 정확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단백질 공학 전략을 개발했다. 유전자 교정의 안정성을 높이고 암과 난치성 ... ...
얼마나 빨리 늙고 있나…'뇌 스캔'으로 노화 속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있는지, 몸은 얼마나 쇠약해지고 있는지 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뇌
이미지
기반 노화 속도 측정법을 임상 현장에 적용하기엔 아직 이르지만 혈액 검사를 기반으로 한 기존 노화 측정법보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혈액이나 분자 수준에서의 생물지표만으로 ... ...
빛 적응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 모방한 로봇 눈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빛에 적응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빛에 적응할 수 있는 로봇 눈이 개발됐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환한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면 처음에는 앞이 잘 안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현상을 ‘암순응’이라고 한다. 인간의 암순응을 모방한 로봇 눈이 개발됐다. ... ...
시력 안좋은 혹등고래의 거대한 눈…네이처 선정 6월 최고의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ESO)의 거대 망원경 VLT를 사용해 촬영한 조각가 은하(Sculptor Galaxy).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
와 다르게 별, 가스, 먼지 등이 방출한 수천 가지 파장의 빛을 담았다. 상세한 파장 정보 분석을 통해 천문학자들은 은하 내부 구조를 탐구하고 은하의 나이와 구성 등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John ... ...
진드기 매개 감염병 'SFTS' 치료하던 의료진 7명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SFTS)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인은 반드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들이 환자의 혈액 및 체액을 통해 2차 감염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SFTS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에 물려 ... ...
美 사상 최대 꿀벌 집단폐사 원인은 '살충제 내성' 기생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돕는 핵심 매개체다. 꿀벌 개체수 감소는 미래 식량위기, 생태계 붕괴와 직결된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미국의 상업용 꿀벌 군집 62%가 폐사했다.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꿀벌 폐사 사례로 기록됐다. 원인은 꿀벌 기생충 '바로아응애(Varroa mites)'가 전파하는 치명적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