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송
운송
전달
운하
탁송
전도
나르기
뉴스
"
운반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주 방폐장에 방사성 폐기물 반입 1년만에 재개...원자력연 방폐물 반입은 아직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월성원전과 경주 방폐장 간 전용도로를 통해 방폐물이
운반
될 예정이다. 다만 원자력연에서 나오는 방폐물 드럼 반입은 여전히 미지수다. 원자력연 및 공단 관계자는 “원자력연 방폐물 드럼과 관련된 사안은 아직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공단은 향후 유사사례가 ... ...
[영상+]"첫 발사까지 앞으로 1년" 누리호 개발 산실 나로우주센터를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장은 “나로호보다 길이가 14m 긴 누리호를 눕혀서
운반
하면 좁은 도로를 돌기 어려워 도로 폭을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관제센터도 개편에 들어간다. 항우연 관계자는 “내일부터 바로 세부 시스템을 누리호 체계에 맞추기 위한 공사에 들어간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세포를 완전한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염색질을 만드는 과정과 뉴런이 생성되며 서로 달라붙는 과정, 세포에서 화물을
운반
하는 ‘엔도솜’이 움직이는 모습 등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장면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헤스 교수는 “이미 수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세계에는 수많은 연구가 필요한 세포가 너무 많다”고 말했다 ... ...
AI 의사보조와 자율주행로봇 활약하는 세계 첫 ‘5G 혁신병원’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로봇과 AI 기반 병실 개선 수술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술실 5G 자율주행
운반
로봇을 개발했다. 수술 시에는 감염물이나 의료폐기물 등이 반복적으로 대량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5G 자율주행 로봇이 자동으로 처리하고 비품을 배달할 수 있다. 특히 감염된 물품을 사람이 옮기다 침습적인 ... ...
소름 돋게 만든 여행 가방
팝뉴스
l
2020.01.04
올려져 있기 때문이다. 아주 무서운 상황을 상상하게 만든다. 사람을 가방에 넣어서
운반
하는 것처럼 착시를 일으킬 수도 있는 상황인 것이다. 다행히 ‘살인마의 여행 가방’은 아니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대장암 80% 연관 돌연변이, 암세포 어떻게 늘리는지 밝혀냈다"
연합뉴스
l
2019.12.31
단백질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하지만 이번 발견에도 불구하고 베타 카테닌의 세포핵
운반
에 작용하는 분자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라고 한다. 앵커스 교수는 "APC 돌연변이가 생긴 대장암 세포에서, 베타 카테닌의 지속적인 활성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확인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나타나는 독창적인 토목기술이다. 북쪽에서 발견된 특수통로는 벽 석재와 부장품
운반
, 제의공간으로도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위에서 아래로 매장이 이루어지는 돌덧널무덤에서는 처음 발견된 독특한 구조다. 중심분할석벽은 삼국시대 봉토 고분에서는 처음 확인된 구조다. 대규모 ... ...
北, 서해발사장서 어떤 시험?…'ICBM고체·위성용엔진' 추정(종합)
연합뉴스
l
2019.12.09
ICBM 1단을 고체연료 엔진으로 개발하려는 것은 발사 때 추력을 높여 핵탄두의 원거리
운반
능력을 높이고, 다탄두 ICBM으로 가겠다는 의도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아울러 연료를 충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이동식발사차량(TEL)을 이용해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시각에 발사할 수 있는 등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밝혔다. 태양전지에서 빛 에너지가 아무리 커도 빛 알갱이(광자) 1개로는 전하
운반
입자(캐리어) 한 쌍만 생긴다. 여분의 에너지는 열로 방출되기 때문이다. 태양전지 효율이 이론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다만 특정 조건에서는 캐리어가 두세 쌍 생기는 ‘캐리어 증폭’ 현상이 ... ...
6년 걸리는 원시우주 연구 3개월에 끝낸다…슈퍼컴 ‘누리온’ 가동 1년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해저환경에서의 심해 로봇 거동 연구, 대규모 수소 저장 및 이송을 위한 액체 유기 수소
운반
체 연구 등 141개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며 “국내 연구자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환경을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KISTI는 12월 3일 KISTI 대전 본원에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