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NOON 양자얽힘' 구현…양자센싱·통신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 애플리케이션’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자역학은 원자와
분자
, 광자 등 미시세계의 물리적인 현상을 다루는 분야다. 양자역학의 가장 독특하고 중요한 현상 중 하나는 ‘양자얽힘’이다. 2개 이상의 양자가 서로 연결된 것처럼 영향을 주고받는 현상이다. 서로 물리적으로 ... ...
진화한 단백질 구조 예측 AI…생체
분자
와 상호작용도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고려했기 때문“이라며 "신약을 개발하려면 단백질 구조뿐 아니라 단백질에 어떤 유기
분자
가 결합할 수 있는지, 항체 신약을 설계한다면 어떤 항체가 어디에 어떻게 결합할 수 있을지 예측을 잘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쌀알 반만 한 뇌 조각으로 만든 고해상도 '3D 뇌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기능과 질병을 알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프 리히트만 미국 하버드대
분자
및 세포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 구글 연구팀과 협력을 통해 인간 대뇌 피질의 작은 조각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고 고해상도 이미지로 재구성했다. 뇌 조각의 3차원 구조를 포함한 연구결과는 9일 ... ...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앞당기는 '데이터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등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는다. 전사체는 유전체에서 유전자 발현을 위해 전사된 모든 RNA
분자
를 뜻한다. 예를 들어 전사체 분석으로 암 조직 내 수십 가지 종류의 세포를 구분하고 유전적 변이가 발생한 세포만 표적으로 정밀 치료할 수 있다. 전사체 분석이 널리 쓰이려면 분석 데이터에서 유용한 ... ...
국내 연구진, 양자점 레이저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미시적 입자가 진공 속에서 대체로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가느다란 흐름이다.
분자
선으로 진공 상태에서 물체 표면을 코팅하는 속도가 대량으로 레이저를 생산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지 않아 양자점 레이저를 상용화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고속으로 박막할 수 있는 MOCVD를 활용해 양자점 ... ...
"장내 미생물 분비 물질이 장 건강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했다. 이러한 Amuc_1409에 의한 장 건강 개선 효과는 Amuc_1409가 세포와 세포를 이어주는
분자
와 결합해 상호작용하며 장 줄기세포의 재생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하기 때문이라는 기전도 연구팀이 규명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출연연 간 협력 연구를 통해 장 미생물 아커만시가 ... ...
금성에 물이 없는 이유는…"대기중 수소원자 우주로 대량 유출"
연합뉴스
l
2024.05.07
밝혔다. 이어 전자와 결합한 HCO+ 이온은 CO와 H로 분리되고, 가벼운 수소 원자는 CO
분자
를 발사대 삼아 빠르게 튕겨 나가 우주로 빠져나간다면서 이 반응이 반복되면서 물이 빠르게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채핀 박사는 금성의 건조한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대기 중에 예상보다 많은 ... ...
폐암 전이 억제 실시간 세포 추적 이미징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게재됐다. 이번에 전이성 암의 바이오마커로 확인된 HO2는 세포에서 헤모글로빈의 철
분자
성분을 분해하는 효소다. 활성산소(ROS)를 제거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등 세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생체영상화, 면역조직화학법, 3차원(3D) 홀로토모그래피 기술, 리보핵산(RNA)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서서히 벗겨내고 있다. 브라이언 로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 연구팀은 쓴 맛
분자
가 작용하는 수용체인 'TAS2R14'의 자세한 구조를 밝혀낸 연구 결과를 지난달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TAS2R14은 100가지 이상의 쓴 맛을 구별할 수 있는 민감한 수용체다. 연구팀은 TAS2R14이 쓴 맛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운동이 건강에 좋은 이유,
분자
단위에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04
컨소시엄(MoTrPAC)'은 쥐 실험을 통해 지구력 운동 중에 신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를
분자
수준에서 확인한 연구 결과를 1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챗바퀴 운동을 하는 쥐를 8주 동안 관찰했다. 운동이 끝나고 48시간 뒤 심장과 뇌 등 18개 기관에서 시료와 혈액을 채취했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