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뉴스
"
마지막
"(으)로 총 2,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2회 감염자 치명률, 1회 감염자보다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0.08%다. 1회 감염자보다 0.03%포인트 낮은 수치다. 재감염자는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마지막
확진일로부터 45일 이후 PCR(유전자증폭) 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에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 재감염으로 정의했다. 3회 감염자의 치명률은 0.43%을 기록했다. 1회 감염자의 4배, 2회 감염자의 5배 수준으로 ... ...
휴가 3일을 허비하다
팝뉴스
l
2022.11.15
미국의 평범한 직장인은 퍼즐을 완성하면 높은 성취감을 맛볼 수 있을 거라고 믿었는데,
마지막
날 오산이었음을 깨닫는다. 퍼즐 조각 하나가 어디론가 사라져 없어졌던 것이다. 퍼즐은 미완성으로 남고 3일 휴가는 허비되고 말았다 ... ...
화이자 BA.4/5 개량백신 오늘 접종 시작…현장접종도 가능
연합뉴스
l
2022.11.14
2.6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동절기 추가 접종 대상은 18세 이상 국민 가운데
마지막
접종 또는 감염 이후 120일이 경과된 사람이다. 방역 당국과 전문가들은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이들과 접촉이 잦은 경우, 감염취약시설에 머무는 사람들에 대해 꼭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개량백신은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백색왜성 발견..."107억년 된 붉은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공개했다. 태양을 포함한 별은 수명을 다하면 백색왜성이 된다. 백색왜성은 별 진화의
마지막
단계로 핵융합 연료가 모두 소진돼 수축과 냉각과정을 겪는 청백색의 별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주변을 돌던 행성들은 파괴되고 잔해는 백색왜성의 표면에 쌓이게 된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 ...
중국 로켓 또 떨어져…5일경 부품 ‘비’ 쏟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톈궁에 필요한 모듈을 쏘아 올리기 위해 쓰인 우주발사체다. 중국 우주정거장 구축의
마지막
모듈인 멍톈을 고도 390km에 안착시켰다. 우주발사체는 보통 발사 후 궤도 진입 전 탑재체를 분리하고 태평양 쪽으로 떨어지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중국 우주발사체는 궤도까지 올라가 탑재체를 분리한다. ... ...
2021년 출생아 26만여명으로 역대 최소..."40년 뒤엔 18만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1970년대 이후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제 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이 시행된
마지막
해인 2020년은 여성 1인당 기대 출생아수가 1.50명까지 증가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실제로는 절반 수준인 0.84명에 그쳤다. 연구팀은 "2017년 연간 출생아수 30만명이 붕괴된 동시에 연간 사망자수는 30만명에 ... ...
中 우주정거장 마무리 수순…우주 굴기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국가항천국(CNSA)은 이날 오후 4시 37분(한국시각) 하이난성 원창우주발사장에서 톈궁의
마지막
모듈이자 세번째 모듈인 멍톈을 창정5B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톈궁은 중국이 독자적으로 구축 중인 T자 형태의 우주 정거장이다. 핵심모듈인 텐허, 주거와 실험실로 쓰이는 원톈, 실험실 전용 멍톈으로 ... ...
이태원 참사로 국민 모두 '트라우마 고위험군'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평소 정신건강이 불안정하거나 또는 사망자들과 유사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해당한다.
마지막
으로 일반인과 사회 전반도 영향권에 있다. 실제 사람들이 외상후스트레스를 겪을 확률은 이러한 기준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 사고 당사자가 아닌 주변인들이 더 오랫동안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 ...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 화성에 운석 충돌...규모 4 지진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필수적인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결과는 인사이트의
마지막
업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사이트는 2018년 11월 화성 적도 부근 엘리시움 평원에 착륙한 뒤 약 4년간 화성의 토양과 지질, 내부구조를 탐사하고 있다. 태양광 패널이 먼지에 덮이면서 전력 생산량이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살아온 시기에도 지금처럼 더운 시기가 분명 있었다. 약 200만 년 전인 신생대의
마지막
시기(제4기)에도 약 4번의 빙하기와 그 사이사이마다 지구가 따뜻해지는 3번의 간빙기가 있었다. 온도도 지금보다 높은 시기가 있었다. 문제는 온도가 아닌 속도에 있다. 과거에는 약 10~20만 년에 걸쳐 온도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