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소규모 대학 평가서 세계 2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26배 높은 단백질 발현을 유도한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에 지난달 3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환경·에너지공학부가 8일 오룡관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소속 과학자 4명을 초청해 NASA의 토양수분 관측 위성 관련 연구와 임무를 ... ...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개발한 '멀티피직스 시뮬레이션(Multiphysics Simulation)' 덕분에 마이크로파 대역의 자기장이
나노
소재에 가해질 때 일어나는 복잡한 과정을 이해하고 신개념 공정을 만들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대호 책임연구원은 "마이크로파 유도 가열 기술은 하드 카본을 빠르고 쉽게 제조할 수 있어 나트륨 이온 ... ...
'앗 뜨거워' 전자기기 발열 문제 해결할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핀(fin)에서 착안해 새로운 접근방식을 개발했다. 자성을 가진 절연체 박막 한쪽 끝에
나노
미터 규모의 금 구조물을 추가하고 금 구조물 함량에 따라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도록 설계했다. 이 금 구조물은 해당 위치에 있는 스핀파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물질 내에서 스핀파의 온도 불균형을 ... ...
日서 최고 자리에 오른 과학자가 한국으로 돌아온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그만큼 혁신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OLED 효율 높이는 발광 메커니즘, 정밀한
나노
분광법 등을 개발했다. GIST에 설치되는 양자변환연구단에서도 연구를 이어간다. 특히 표면, 계면의 화학 반응을 양자 수준에서 더욱 자세히 들여다볼 예정이다. 그는 "표면에 있는 분자는 주변 에너지를 ... ...
장학금 주고 모신 이공계 외국인 석박사, 줄줄이 본국행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석박사 진학생 수는 매해 감소하는 추세다. 정부는 재정 지원을 통해 인공지능(AI),
나노
등 4차 산업 핵심 분야에서 예상되는 연구 인력 공백을 외국인 석박사 유학생 유치로 대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예산 투입 대비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정착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 ... ...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움직임을 파악해 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으로 얻은 이미지를 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까지 나타내도록 해상도를 높여 아주 작은 크기의 초파리 뇌 신경세포를 관찰했다. 수백만 개의 이미지에서 신경세포의 모습을 구별하는 복잡한 작업에는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다. ... ...
10월 과학기술인상에 박문정…고분자 합성·제어 분야 개척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길이와 연결 부위의 길이를 조절하며 자가조립이 이뤄지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나노
구조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정립한 셈이다. 연구결과는 1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크게 실렸다. 박 교수는 “교과서에 없던 주제에 빠져 7년동안 한우물을 판 것이 성과를 보여 기쁘게 생각한다 ... ...
거울 대칭 분자로 '탈취 불가' 광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등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상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최준일 교수는 "
나노
입자 기반의 가시광 통신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통신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467-024-52358- ... ...
개인 필적 위조 가린다…움직이는 힘 분석하는 광학 촉각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모사해 표면을 누르는 힘을 좁은 범위에서 증폭시켰다. 센서 아래쪽에 있는 '상향 변환
나노
입자' 층은 외부에서 가하는 힘을 정확하게 감지해 빛으로 방출한다. 기존 소재보다 저렴하고 노이즈가 적어 신호가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 지점을 가만히 꾹 누를 때 광학 촉각 센서 하단에서 ... ...
생수병에 담긴 미세플라스틱의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8개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이다. 미세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지름이 1~5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고 국내에서 미세플라스틱 함유량에 대한 허용 기준치도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플라스틱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