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특정"(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준비단계기사 l20141019
- 포괄적으로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채택된 조약이예요. 지금까지의 야생생물 보호·보전에 관한 국제적 약속은 특정의 종이나 생식지에 집중되었지만 본 조약은 생물의 다양성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대요. 생물의 다양성이란 생식지, 종, 유전자의 3가지 측면에서의 다양성에 대한 총칭이며 이러한 다양성을 보전하지 않으면 생물을 멸종으로 ...
- 스마트폰은 초등학생에게 필요할까? 스마트폰이 초등학생에게 필요한지 토론회를 열어보자기사 l20140921
- 하지만 이 전자파는 아주 치명적입니다. 2012년 5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인에 비해 초등학생이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 흡수율이 높다고 나왔습니다. 그런데 그 전자파는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바로 스마트폰일 것입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휴대폰의 전자파를 발암가능 물질로 구분해 놓았습니다. 초등학생 부터 암을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어린이과학동아 l20140730
- 최근 영국의 나노전자기업인 서리 나노시스템즈 전문가들이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 ‘밴타블랙’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물질이 특정한 색깔을 띠는 이유는 그 색깔을 내는 빛(가시광선)을 반사하고 다른 빛은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5호(2014년8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오늘은 엄마아빠랑 충주남산에 매미 탈피각을 주우러 갔어요.혹시나 심화교육때 필요할지도 몰라탐사기록 l20140728
- 오늘은 엄마아빠랑 충주남산에 매미 탈피각을 주우러 갔어요.혹시나 심화교육때 필요할지도 몰라서요.직접만지지는 못하고 핀셋으로 탈피각을 떼어냈죠. 나무에보다 바닥에 떨어져있는 탈피각들이 정말 많았습니다.특정나무에만 탈피각들이 있는것도 같았습니다. 풀에도 붙어있었어요.정말 좋은 경험을 해보고있는 중입니다. ...
- (공지)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4에 참가할 인원을 별도로 미리탐사기록 l20140528
- 수 없으므로 비용 없음) 발표: 마감 직후 바이오블리츠(BioBlitz)란? 생물다양성 탐사라고도 하는 바이오블리츠(BioBlitz)는 24시간 동안 특정 지역에서 생물다양성을 조사하는 생태탐사를 말한답니다. 전문가와 일반인이 하루동안 다양한 생물종의 목록을 조사해서 목록을 만든답니다. 전문가와 같이 생물다양성 탐사도 하고, 교육도 받을 수 있 ...
- 중력파의 발견이 왜 중요할까요? 빅뱅은 아시나요?기사 l20140321
- '인플레이션'이론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관측에선 중력파에 의해 생기는 직접 효과인 빛의 특정 편광 패턴을 '우주배경복사'에서 찾아냈다. 중력파의 발견은 천체물리학계의 오랜 숙원인 만큼, 이번발견을 토대로 우주의 역사를 제대로 쓸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참 신기하다. 아빠와 내가 살아있는 시기에 발견되다니 우리 ...
- 미생물은 뭘할까? 우리몸의 세포수 보다 많다는데...기사 l20140313
- 2000년에 과학저널 에 기고한 글에서 '인간은 선이고, 미생물은 악'이라는 편견을 끝내자고 제안했대요. 그는 인체의 특정 서식처에 사는 미생물들과 그 유전체 전체를 통틀어 '마이크로 바이옴'(미생물체)이라고 부르며 기주(숙주)와 미생물을 합쳐 '슈퍼유기체'로 간주해야 한다고 했대요. 저는 조슈아의 라는 책을 너무 재 ...
- 유전자재조합식품? 그게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110831
- 혹시 ‘유전자재조합식품’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유전자 재조합식품은 특정한 목적에 맞게 유전자를 조절한 생물로 만든 식품 을 말해요. *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7호(2011년 9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바하마 제도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31
- 마음이 편해져서인지 다시 의욕이 솟구친다. 함께 보는 다윈의 비글 호 여행기 다윈은 산호와도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다윈은 특정한 모양의 산호초를 연구한 뒤 바다 바닥이 내려앉아야만 그런 모양의 산호초가 나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땅이 밑으로 내려가고 산호는 위로 자란 결과라는 것이다.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1952년. 산호초 섬의 ...
-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1)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먹이를 잔뜩 먹은 반달가슴곰이 있을 가능성이 크거든요. 아~, 지금 수신기에서 신호가 오네요. 어디 보자…, 반달가슴곰들이 산의 특정 부분에 모여 있네요. 바람이 잘 불지 않고 나무로 잘 가려져 있는 좋은 장소를 찾은 것 같아요. 거기로 가 보면 아마 반달가슴곰을 만날 수 있을 거예요. “땅 속에도 동물이 있어요!”라남용(강원대학교 생물학과 박 ...
이전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