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국립"(으)로 총 1,9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개구리와 개구리알을 봤어요!탐사기록 l20220324
- 이 사진 속에는 개구리가 2마리 숨어있답니다!저번 국립수목원에서 찍었어요! ...
- 국립수목원 안에는 무슨 새가 있을까?기사 l20220323
- 2마리가 숨어있답니다.) 이렇게 해서 전 국립수목원을 나왔습니다! 여러분도 국립수목원을 와보세요~~ 전 엄청 추천드립니다! 제가 국립수목원에서 본 새는.. 총 8종류 정도군요! 쇠박새,박새,오목눈이,흰뺨검둥오리,노랑턱멧새,곤줄박이,되새,딱새 ..이정도 봤습니다! 여러분도 동물과 생물에 관심이 있으시면 한번쯤은 꼭 ...
- 가족과 함께 국립수목원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20320
- 동절기 숲해설사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하늘을 나는 새를 만날 수 있는 시간을 뒤로 한채 산림 박물관에 가서 국립 수목원의 역사와 산림청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날씨가 더 따뜻해지고 새싹이 돋아나고 꽃이 피면 또 방문해서 기사를 작성하고 싶습니다. 또 방문할 것을 기약하며 정지은 기자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국립수목원에 탐조하러 드갑니다~~포스팅 l20220320
- 저번때 서산버드랜드에서 받은 (SBL) 마스크 쓰고 국립수목원 새 싹다 보고오겠습니다! ...
- 이 꽃의 색깔은 무슨 색일까요?기사 l20220313
- '입니다. 한국에서는 온실에서 재배하고요, 화려한 이파리가 감싸고 있는 진짜 꽃은 작고 눈에 띄지 않아요. (사진. 국립생태원 홈페이지) 이 잎의 색깔이 자홍색, 주황색 색깔로 보이는 까닭은 곤충을 속여서 곤충이 '수분'시킬수 있도록 보이게 한 것이에요. 곤충을 유혹하기 위해 잎이 색이 화려한거죠. 진짜 꽃은 작은 흰색(크림색)이에 ...
- 서천 국립생태원에 갔다왔습니다.(놀라운 동물들)기사 l20220307
- 버섯과 공생하는데 잎꾼개미가 잎으로 버섯을 키워내면 그것을 개미들이 먹습니다. 마치 농사짓는 농부와 밀 같죠? 이상 제가 직접 국립생태원에 갔다가 작성한 기사인데 부족한 점도 많고 부실한 점도 많겠지만 재미있게 봐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상 성아윤 기자였습니다. (출처는 모두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 ...
- 무슨 개구리의 알일까요?탐사기록 l20220306
- 주말에 국립수목원에 갔다가 연못에서 알을 발견했어요. 성체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어떤 개구리의 알일까요? ...
- 국립대구과학관의 천문대 가 본 후기!기사 l20220305
- 가 보았는데요,갔다온 후기 남기겠습니다. 음...일단, 입장료는 1인당 5000원이고요,주말 야간 관측이 가능합니다.자세한 내용은 국립대구과학관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먼저 안으로 들어가면 예약자 이름 체크하고,어디에 들어가야할지 안내해 줍니다. (출처:모두 저입니다.) 이 사진은 제가 체험하기 전에 찍은 사진인데요,야관 관측이다 보니까 밤에 ...
- 인류가 처음으로 만들어낸 원소?!기사 l20220305
- 찾아낸 고트프리드 오잔) 그러던 1937년, 이탈리아 팔레르모 대학교의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는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이전 기사에서도 소개되었죠)에서 특별히 가져온 방사성을 띠는 몰리브데넘으로 테크네튬을 찾아내면서 마침내 원소 주기율표의 빈자리를 채우는데 성공합니다. 출처:위키백과 2.성질 테크네튬은 그 역사가 워낙에 스토리 ...
- 냉전 시대에만 인류가 2개의 원소를 만들었다고?!기사 l20220303
- 그 양이 너무나도 적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출처:위키피디아 하지만 야속하게도 2년 뒤인 1969년,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가 캘리포늄과 과자 포장에 쓰는 질소를 합쳐 또 똑같은 원소를 만들어내 러더포듐과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더브늄의 발견으로 또 다시 미국과 러시아는 논쟁을 했고 러더포듐을 뺏긴 러시아의 체면을 위해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