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학습시키는 거예요. 제조업 분야에서 이미지 생성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에요. Q 인공지능 개발자 되려면 무슨 공부를 해야 되죠? 지금은 어느 분야든 인공지능을 접목해 보려는 시도가 참 많아요.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수학과 컴퓨터 공부를 열심히 하면 누구나 인공지능 개발자가 ...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국제학술지 ‘인류 진화 저널’에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대퇴골을 분석한 논문 한 편이 발표됐다. 로베르토 마키아렐리 프랑스 푸아티에대 지구과학과 교수팀은 2001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화석과 함께 발견돼 2004년 영장류의 것으로 분류된 대퇴골 화석을 분석했다. 대퇴골 화석은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10명의 훌륭한 연구원과 함께 논의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Q 수학이란 무엇인가요?한편으로는 맞추기 힘든 퍼즐 같지만, 나름의 아름다움도 있어요. 그래서 풀었을 때의 희열감이 크죠. 문제를 풀면서 수학자들끼리 많은 교류를 하는데 이때의 즐거움도 수학의 한 부분입니다. 함께 고민하면서 ... ...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논쟁에 아무래도 결론을 내야 할것 같다. 뉴턴이 회장으로 있는 영국 왕립 학회에 항의 편지를 보낼 생각이다. 라이프니츠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 왕립 학회는 ‘미분법’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뉴턴이라고 결론지었어요. 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지지자들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어요.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호모 날레디(Homo naledi)라는 새로운 종명이 붙여졌다.호모 날레디의 몸집은 작은 편이다. 150cm에 살짝 못 미치는 키는 현생 인류에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몸집이다. 그러나 500cm³ 남짓한 호모 날레디의 두뇌 용량은 현생 인류에서 보기 어렵다. 특히나 이 정도의 몸집과 두뇌 용량이 조합을 이루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이 교수가 남긴 업적이 잊힌 적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리 군(Ree group)에 관한 논문이 100편이 넘을 정도니까요. 또 일찍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1963년 40대의 나이로 캐나다 과학자의 최고 영예인 캐나다 왕립학회(Royal society of Canada) 정회원으로 선출됐습니다. 사망 직후인 2006년엔 늦게나마 우리나라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될지 누가 알까. 이새는 더욱 숨을 죽였다.눈앞에서 생명이 죽는 모습을 보는 건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퓨라가 몸부림치며 입을 벌렸다. 그 순간 이새는 숨이 멎을 듯한 기분을 느꼈다.퓨라의 입에서 흘러나온 소리 때문이었다. 이새를 황홀하게 만들어 준 그 노래, 이새를 여기까지 오게 만든 그 ... ...
- [수담수담]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느꼈고 이것이 계기가 돼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세계에 뛰어들게 된 거죠.저는 영상 한 편을 만드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요. 10분가량의 영상을 만들 때는 열흘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데, 영상이 길어질수록 제작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요. 그 예로 박찬욱 감독의 영화 ‘아가씨(2016년)’를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권오철 작가님은 3월 10일 tvN에서 방송한 유 퀴즈 온 더 블럭 ‘이직의 기술’ 편에 등장할 정도로 수많은 직업을 거쳤습니다. 권 작가님은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소에서 해군 잠수함을 설계하다가 갑자기 소프트웨어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당시에는 잠수함의 기본 설계를 ... ...
- [기획] 데이터로 입증한 다양성의 힘, 감독 장지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영화산업 통계자료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된 지표조차 없는 실정이다. 내가 발표했던 편향성 논문도 ‘아직 아무도 하지 않은 일’이라 관심을 받았다고 생각한다.동시에 예술 영화에 대한 지원을 늘려 장기적인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사실상 예술 영화가 상업 영화로 입성하려는 감독들의 디딤돌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