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충은 뭐 먹고 살았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분돼 있어서 삼염충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2만 종이 넘어요. 그중에서도 저는 보헤몰리카스 인콜라(Bohemolichas incola)랍니다! 대기에 산소가 증가하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다양한 해양 생물이 번성했던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살았어요. Q 주로 무엇을 먹었나요?제 식생활에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말했다. 예를 들어 13, 14, 15, 21, 22번의 다섯 개 염색체는 서로 다른 염색체임에도 중심체 가까이에 똑같은 반복 서열이 존재해서 분석이 무척 어렵다. 또한, 같은 이유로 분열 과정에서 다른 염색체끼리 붙는 등의 구조 돌연변이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 연구원은 “이 반복 서열을 더 연구하면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 현장에 직접 가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유튜브 과학 채널 ‘지식인 미나니’를 운영 중이다. 최근엔 과학 만화책 ‘요즘 과학’, GPT-3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책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2023년 트렌드’도 펴냈다. skddl0514@gmail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개발하고 반도체를 설계하고 우주 추진체를 개발하는 크고 숭고한 목표를 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번 연구만큼은 순수한 호기심이 목적이라는 것을 바꾸고 싶지 않았어요.” 과학하는 사람의 순수한 호기심을 강조한 신 교수는 과학자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도 꼭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작은 사진전이 열렸습니다.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프로젝트에서 수집된 장면 중 30개를 선별해 전시했죠. 안 교수는 “KAIST 교수들도 전시를 보며 공감한다”면서 “학생들이 실패가 보편적이란 걸 알아줬으면 한다”고 했습니다 ...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확보하고, 이런 원천기술을 결합해 상업 생산 규모로 확산하는 스케일업 연구가 중요하다”면서 “3HP 상용화 연구 역시 양사가 보유하고 있던 기술과 인프라를 활용해 기술 개발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탄소 먹는 미생물로 지구를 지킨다 화이트바이오 기술을 통해 생산할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약 500km 상공에 있는 묵자호에 얽힘 상태에 있는 양자 한 쌍(A, B)을 둡니다. 그리고 이 중 한 개의 양자(B)를 지상으로 내려보냅니다. 그 다음 지상에 도착한 양자와 얽힘 상태인 양자(C)를 하나 더 만듭니다. 이때 양자 C를 관측하면 동시에 A와 B의 상태가 결정됩니다. 만약 C가 1이었다면 B는 0, A는 1이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잡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는 말이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언제 나타날지 모르는 중성미자와 암흑물질 시그널을 탐색하며 묵묵히 실험을 이어가는 이유다. 우주의 비밀에 닿기 위해 수천 m 어둠을 파고든 과학자들의 건투를 빈다 ...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세상과 어느 정도 타협을 시작한 상태였다. 인생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기분이 쌓인 와중에, 박경리 작가의 ‘토지’, 조정래 작가의 ‘태백산맥’ 등 대하소설들을 읽으며 소설에 재미를 붙였다. 한국 SF 소설들도 그때 처음 접했다. 김보영 작가의 ‘7인의 집행관’을 선두로, 배명훈, 장강명, ...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맡은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단장은 “일반 대중과 함께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열정을 갖고 있다”면서 “양자・나노 부문에 지원한 작품이 53건이나 된다. 오늘 시상하게 돼 무척 기쁘다”고 했다. 수상작들은 동아사이언스의 SF 창작 플랫폼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