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자"(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해독’이나 ‘디톡스’, ‘인체의 자연치유력’이라는 단어를 자주 씁니다. 이 책의 저자도 “수술, 항암제, 방사선을 중단하고 천연 음식, 천일염, 지하수 등과 침, 뜸을 이용해 햇빛을 적절하게 쬐고 가벼운 운동을 곁들이면 모든 암은 쉽게 치료됩니다”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수술, 항암제,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이용하면 된다. 지난 1월호 신간 소개에 실린 ‘블랙홀에서 살아남기’의 서평을 보자. 저자는 기조력을 상쇄하기 위해 훌라후프 같은 고리를 두르면 된다고 설명했다. 물론 이 고리의 질량이 매우 커야 해서 쉬운 방법은 아니다. 하지만 이미 오래전에 나온 아이디어다.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 ...
- 내 마음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데 쓰이는 분노란 소모적일 뿐 아닐까. 차라리 자유의지란 개념은 없는 게 낫지 않을까.저자의 주장은 도발적이다. “창궐하는 전염병과 싸우려 할 때 그것이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필요가 없”듯이, 범죄자를 향한 복수심과 분노 역시 인간이 자유의지라는 환상을 버리면 (앞선 ... ...
-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사건’을 뜻하는 경제 용어다.제임스 글릭★ 미국의 작가로 베스트셀러 ‘카오스’의 저자이다.불규칙의 규칙성만델브로의 최대 업적인 프랙탈은 1967년에 쓴 라는 논문에서 출발했다. 그는 이 논문에서 프랙탈과 차원에 대한 흥미로운 수학 이론을 제시했다. 그에 ...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GM 농산물이 우리 농산물에 섞여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과학동아 편집장을 지낸 저자는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에 주목했다. 아직은 연구가 시작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아 GMO가 좋다, 나쁘다를 확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소한 소비자로서 이 제품에 GM작물이 쓰였는지 아닌지는 ...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우리나라에 번역돼 있는 몇 안 되는 우주생물학 입문서인 ‘우주생명오디세이’의 저자로, 우주와 생명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대표적인 박학자다. 입담도 좋다. 세상의 과학책을 농담이 많은 책과 없는 책으로 나눈다면, 아마 이 책은 농담이 많은 책 중 최상위에 속할 것이다(다만 이 영미식 농담이 ...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않고, 한가운데에는 아예 희곡 대본이 들어 있을 정도로 파격적이고 섬세하다. 물론 저자가 완전히 상상을 통해 복원한 16세기의 장면이다. 소설처럼 묘사하는 일도 어려운데 대화를 복원하다니 야심과 상상력이 놀랍다.이렇게 이야기의 근원은 상상력이다. 이야기 속의 상상력을 실현하는 과학책도 ...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또다른 블랙홀이 될지 모르겠다. 게다가 그래 봤자 늘어나는 수명은 0.1초밖에 안된다. 저자는 “원래 그냥 들어가면 0.1초 만에 죽는데, 0.1초를 더 사니 수명이 2배가 됐다”고 천연덕스럽게 말하지만, 그렇게 매력적으로 들리지는 않는다.언뜻 들으면 ‘썰’만 푸는 책이 아닐까 싶지만, 그렇지 않다.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되기 위해 시도한 최초의 행위가 협력과 경쟁이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초협력자’의 저자인 마틴 노왁 옥스퍼드대 교수는 2006년 사이언스 논문에서 진화를 위해서는 인간 사회뿐 아니라 동식물, 다세포 생명체, 조직, 세포 심지어 단백질과 핵산 수준에서도 협력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멸종 사례를 세계 곳곳에서 추적한 상세한 르포다. 도도는 17세기에 사냥으로 멸종한 새. 저자는 이들의 흔적을 찾으며 생물의 보호를 역설한다.2. 생물 멸종과 진화론 논쟁사라져가는 동물은 보호의 입장에서도 관심이 필요하지만, 중요한 과학이론인 진화론의 증거로도 필요하다. 특히 올해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