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환경"(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주 오래 전 인간은 태양이 떠 있는 시간에만 야외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토머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고 뒤이어 형광등이 개발되면서, 인류는 낮과 밤 구분 없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자유를 얻었습니다. 말하자면 인류는 인공조명의 탄생에 힘입어 눈부신 경제적, 산업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야생의 땅: 듀랑고넥슨이 올해 1월 출시한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다. 기차를 타고 이동하던 캐릭터가 시공간이 뒤틀리는 사고를 겪은 뒤 무인도에 도착한다. 이 야생의 세계에서 유저는 동물을 사냥하고 농사를 짓고 건물을 세우면서 문명사회를 일군다. ‘유니티 엔진’ 으로 만들었다. 여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5년 인공지능(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가 등장한 이후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는 ‘인공신경망을 모방한 딥러닝 기반 기계학습 기술’로 통용된다. 게임에서는 인공지능이라는 표현이 이보다 훨씬 전인 1990년대부터 쓰였다. 유저끼리 대결하는 온라인 게임이 나오기 전에는 유저가 컴퓨터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국 삼국시대. 무예와 시, 무술이 모두 출중하기로 유명한 마 씨 5형제가 살았다. 넷째인 마량(馬良)은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었다. 마량이 흰 눈썹을 가졌다는 데서 유래한 ‘백미(白眉)’는 능력이 가장 출중한 인물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 중국은 떠오르는 과학기술 강국, 즉 ‘라이징 스타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의 이름은 ‘라온(RAON·Rare isotope Accelerator complex for ON-lineexperiment)’이다. 풀이하자면 중이온 빔 가속부터 희귀동위원소 생성, 이를 이용한 실험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가속기 시설이라는 의미다. 동시에 라온은 ‘즐거운’을 뜻하는 순우리말 단어이기도 하다. 라온에는 실험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인류의 가장 큰 에너지원인 화석 연료는 식물이 오랜 시간에 걸쳐 퇴적된 것입니다. 식물은 햇빛을 이용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를 당(C6H12O6)으로 전환하는 광합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생장합니다. 광합성은 공기 중 탄소를 지상에 저장하는, 자연계에서 유일한 탄소 저장 도구입니다. 결국 화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 주작년 11월 15일 포항지진이 발생한 뒤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와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지열발전이 포항지진을 유발했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두 교수는 최근 그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논문 교신저자인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난 겨울 과일 매출 집계 결과 딸기가 감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전통적으로 3~4월에 가장 많이 팔리는 과일은 오렌지였지만, 이 역시 딸기에게 왕좌를 내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원예작물 중 연간 생산액 1위는 1조3000억 원으로 이 역시 딸기가 거머쥐었다. 요즘 제일 잘 나가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난해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강한 압력으로 주입한 물에 의한 유발지진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는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분석 연구단’을 꾸렸다. 연구단은 올해 3월부터 조사를 시작했다. 5월 9일,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멸균된 세포 배양 배지 위에 동전을 잠시 올려둔 다음 치운다. 그리고 다음 날 배지를 확인하면 미생물 수 조 마리가 발견된다. 동전에 있던 미생물이 배지에서 순식간에 번식하기 때문이다. 미생물은 20분마다 한 번씩 세포분열을 한다. 1시간 뒤에는 미생물 1마리가 8마리(1→2→4→8)가 된다. 하루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