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 세계가 함께 추적한다! 우주 쓰레기 감시시스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전 세계 우주환경감시기관이 공유하는 감시 목록에 해당 물체가 업데이트됩니다. 이후 실시간으로 관측 데이터가 다른 나라와 공유되죠. 그때부터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힘을 합쳐 충돌이나 지상 추락 가능성을 계산해요. 그러면 위험도에 따라 사람들에게 알려 우주 쓰레기로 인한 피해를 대비할 ... ...
- 산토끼 vs 집토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뛰어다닐 수 있는 반면, 집토끼의 새끼는 털이 없고 눈도 뜨지 못한 상태로 태어납니다. 이후 약 8주라는 긴 시간 동안 어미의 보살핌을 받아야 하죠. 단단한 먹이를 좋아하는 산토끼와 달리, 집토끼는 풀, 당근과 같은 잎이 많은 채소를 좋아합니다 ● 집토끼도 산토끼도 아닌, 우는토끼!산토끼와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모양을 확인해 모양이 다른 것들을 하나씩 골라내는데 그걸 균주라 부른다. 총 365개였다. 이후 이들을 다시 유전적으로 같은 것들끼리 분류해보니 총 26종의 곰팡이였다. Q. 어떤 곰팡이가 발견됐나. 26종 중 14종이 푸른곰팡이속(Penicillium), 10종이 누룩곰팡이속(Aspergillus)에 속하는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따라 나선팔 갯수 달라져 우리 은하의 나선팔은 네 개일까, 세 개일까. 사실 2000년대 이후로 지금까지도 우리 은하의 나선팔이 대체 몇 개인지에 관한 논쟁은 치열했다. 전파 관측으로 가스 구름의 분포를 보면 나선팔이 총 네 개지만, 적외선 관측으로 별들을 확인한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 ...
- [기획] 풍선에 매달린 과학, 고고도 과학기구과학동아 l2023년 04호
- 021년 이후 보고된 미확인비행물체(UFO) 366건 중 163건은 풍선과 관련된 것이다.” 미국 국방부가 1월 12일 공개한 ‘미확인비행현상 2022년 연례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2월 4일, 중국산 풍선이 미국 국경을 넘은 것을 확인한 미군이 미사일로 풍선을 격추했다. 미국은 이를 ‘정찰용’이라 주장했고,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SNUBall)’이란 영압력기구를 자체 제작해 회수에 성공하는 성과를 올렸다. 하지만 이후 관련 연구는 이어지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지형적인 한계다. 과학기구 연구시설과 발사장을 지으려면 인적이 드문 광활한 평야나 사막지대가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산악지형과 인구 밀집 지역이 ...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연구자들이 세포의 주기와 분화, 이동하는 능력을 연구하기에 적당했기 때문이다. 이후 동물 세포 배양 기술이 발전하면서 동물 세포에 가려 잊혀가던 황색망사점균은 이그노벨상을 기점으로 과학자들에게 재발견됐다. 이번에 점균을 연구하러 돌아온 사람들은 생물의 지능을 이해하고 응용하기 ... ...
- [출동!슈퍼M] 신호등 초록불 신호는 어떻게 정해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유리가 깨진 것을 보고 흰색으로 착각해 앞에 있던 기차와 충돌하고 말았어요. 이 사고 이후 ‘통과해도 된다’는 의미의 흰색 신호등을 초록색으로 바꾸고, ‘주의해야 한다’는 의미의 신호등을 초록색에서 노란색 신호등 으로 바꿨지요. 빨간색은 어두운 곳이나 먼 곳에서도 눈에 잘 띄기 때문에 ... ...
- 내가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확률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것은 매우 어려워요. 지금의 기술로는 고도 120km 정도까지 정밀한 관측이 가능합니다. 이후 우주물체는 고도 약 78km에서 분해되기 시작해 30분 내로 지상에 떨어져요. 이때 물체가 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물체의 재료와 모양, 기상 조건 등 수많은 변수에 따라 최대 폭 20~70km, 길이 185~2000km 정도의 ... ...
- 지구 궤도에서 바로 재활용?! 우주쓰레기 청소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붙잡을 수 있는 로봇 팔이나 그물 등의 장치도 잘 작동해야 합니다. 목표물을 붙잡은 이후에 다시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죠.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나라의 우주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우주로테크의 초소형 인공위성 제거 방법을 볼 수 있다. http://m.site.naver.com/1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