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눈 블록 위에서 살아남아라! 스플리프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명령블록을 가져와 블록을 ‘빨간색 스테인드글라스’로 바꾸세요. ➌ ‘위치-랜덤 위치 선택’, ‘월드좌표’ 명령블록을 가져와 화면과 같이 좌표를 입력하세요. ➍ 같은 방법으로 파란색, 노란색 스테인드글라스 블록도 추가하세요. ➎ ‘블록-블록이 깨지면 실행’ 명령블록을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F3 키를 누르면 여러 정보가 뜨는데요. 그 중 XYZ라고 표시된 부분이 플레이어의 현재 위치입니다. 흔히 3차원 공간좌표에서는 Z가 높이를 의미하지만, 마인크래프트에서는 Y가 높이를 뜻해요. 때문에 평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엔 X와 Z값만 확인하면 됩니다. 네더 요새의 좌표는 (-290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파스퇴르의 실험은 성공하게 됩니다.파스퇴르의 사례에서 실험실의 경계는 파리에 위치한 작은 공간이기도 했다가 프랑스 전역의 농가로 확장되기도 합니다. 라투르는 이처럼 실험실의 경계가 흐려지고 과학의 힘이 사회 전체로 확산되는 과정이 ‘번역’과 ‘네트워크’를 통해 일어난다고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메시지는, 그날 오전에 편의점 창고를 채우다가 떠오른 영감을 급하게 메모한 것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내가 남긴 메모는, [편의점에서 벌어지는 일: 창고에 갇히면 며칠 동안 생존할 수 있을까? 생존하지 못한다면 편의점에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절대로 벌어지지 않을 상황은 무엇일까?]앞서 ... ...
- [시사과학] 역대 최대, 최장 기록 남긴 동해안 산불 213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걸쳐 축구장 3만 개에 달하는 산림을 불태웠습니다.가장 큰 우려는 원전이었어요. 울진에 위치한 한울 원자력발전소에는 한울 1호~6호와 신한울 1호, 2호로 총 8기의 원전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산불은 3시간 만에 원전과 불과 1km 떨어진 덕천리까지 다가왔습니다. 산림청은 산불경보●를 가장 높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껍질까지 100% 활용한다! 귤껍질 향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따라서 불을 먼저 붙인 양초는 위로 올라가며 시소가 기울어지죠. 내려간 양초는 불꽃의 위치를 기준으로 심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고 촛농을 떨궈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시소는 다시 반대로 기울어지죠. 이러한 움직임이 반복되며 양초 시소는 계속해서 움직인답니다. 반면 불을 완벽하게 동시에 ... ...
- [과학뉴스] 서식지 따라 ‘휘파람 이름’ 바뀌는 돌고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걸쳐 지리적으로 서로 다른 곳에 분포하는 큰돌고래를 대상으로 했다.그 결과 지리적 위치와 해양환경, 돌고래의 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례로 해초가 많은 지역의 큰돌고래는 진흙으로 뒤덮인 지역보다 높고 길이가 짧은 휘파람 소리를 냈다. 또 작은 무리의 큰돌고래일수록 음높이 변화가 ...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보인다”고 말했어요.나아가 이 행성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해요. 그렇다면 이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까요? 이 질문에 대해 다마소 연구원은 뜻밖에도 아니라고 답했어요. 왜냐면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강한 활동 때문에 프록시마 d는 생명이 탄생하기엔 너무 뜨거울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헷갈리는 비와 비율, ‘기준’이 중요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두 양을 기호 :을 사용해 비교한 것을 비라고 해요. 그런데 어떤 양이 기호 :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어떤 양이 왼쪽에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요.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을 확실하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봐요. 힌트는 비를 읽는 방법 속에 있답니다! ...
- [이슈2]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 아치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바꿔, 아치를 타고 내려온 무게와 힘이 땅으로 퍼지게 되지요. 아치교는 아치의 위치에 따라 ‘상로 아치’와 ‘하로 아치’로 나뉘어요. 상로 아치는 아치가 다리를 떠받치는 모습이에요. 아치 위에 길이 있지요. 상로 아치는 하중이 짓누르는 힘인 ‘압축력’이 크게 작용해요. 그래서 압축을 잘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