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내 생각대로 움직인다! 로봇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타는 방법을 몸에 익히고 나면, 오랜만에 자전거를 타도 몸이 방법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운동 감각이 기억에 남는 거죠. Q이 기술이 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까요? 그럼요. 이 기술을 응용하면 손가락이나 다리를 생각대로 움직이는 로봇손가락, 로봇다리 등을 개발할 수 ... ...
- 미션3. 디저트 메뉴를 만들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밀가루 100g을 덜어내기로 했어요. 버터도 200g에서 50g을 덜어냈고, 늪지 딸기도 50알에서 25알을 덜어냈지요.따라서 조금 커다란 늪지 스콘의 재료는 밀가루 400g, 버터 150g, 늪지 딸기 25알! 그림을 보며 처음 재료의 양과 덜어낸 양, 남은 재료의 양이 각각 얼마인지 비교해 보세요. 두 가지 재료, ...
- [이달의 과학사] 1922년 11월 26일 3200년 만에 발굴! 투탕카멘의 무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박물관에 전시돼 있답니다.투탕카멘은 파라오의 저주라는 미스터리한 소문으로도 잘 알려졌어요. 발굴에 참여한 사람들 중 일부인 20여 명이 1935년까지 계속 사망했거든요. 카나번 경도 1923년 5월에 사망했지요. 하지만 카나번 경은 모기에 물려 혈액 중독에 걸려 사망한 것이었어요. 사람들의 연이은 ... ...
- [숫자 뉴스] 지하 1000m 땅속에서 우주의 비밀을 찾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물질 중 지금까지 밝혀진 것은 전체의 4%밖에 안 돼요. 암흑물질과 중성미자에 대해 알아내는 것은 우주의 비밀을 푸는 것과 같지요. 우주 연구를 깊은 땅속에서 하는 이유는 주변 환경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예요. 암흑물질과 중성미자가 내는 신호는 포착하기가 매우 어려워요. 그래서 세계 ... ...
- [출동! 슈퍼M] 두루마리 휴지가 갑자기 줄어든 이유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2cm로 줄었을 때 두루마리 휴지의 양이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는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면 알 수 있어요. 전체 원기둥의 부피에서 가운데 휴지심의 부피를 뺀 만큼이 휴지의 부피이지요. 위의 그림을 보면 새 휴지의 부피는 1004.8㎤★, 쓰다 남은 휴지의 부피는 376.8㎤예요. 두루마리 휴지의 두께는 ... ...
- [특집] 인류의 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발자취를 밝혀냈다”며 수상 이유를 요약했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의 과거를 알아내는 건 왜 중요할까요? 김유섭 교수는 “인류는 100만 년이 넘는 시간을 사냥과 채집을 하며 살았다”며 “지금 인류가 앓는 비만 등 다양한 문제점은 과거의 유전자와 현대 생활 환경의 불일치 때문”이라고 ... ...
- [특집] 실험으로 직접 보인 양자 세계의 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하나는 100% 검은색이 될 수도 있는 거예요. 한쪽의 결과를 확인하면 다른 쪽의 결과를 알 수 있는 거죠.양자 얽힘 현상은 두 공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동시에 일어납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정보를 포함한 그 어떤 것도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될 수 없습니다. ... ...
- [특집] 원하는 대로 만들어요 “클릭!” 화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교수는 구리 이온의 도움 없이도 체내에서 안전하게 클릭 반응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덕분에 클릭화학을 우리 몸에서도 안전하게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된 거죠.버토지 교수는 클릭화학의 범위를 생물체까지 확장한 성과를 인정받아 샤플리스, 멜달 교수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 ...
- [가상 인터뷰] 모기에 나만 물린다면? 피부 미생물 탓!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해 주세요! 저는 이집트숲모기라고 해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아프리카를 주요 서식지로 하는 모기지만, 교통과 무역이 발달하면서 아메리카와 아시아까지 분포하게 됐어요. 뎅기열과 황열병, 지카바이러스 등을 퍼뜨리며 악명을 떨친 탓에, 백신 개발 등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는야 디지털 세상의 문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수 있었어요.이처럼 전통적인 뉴스매체에서는 기자들이 도저히 찾아가 취재할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는 사회를 고발하는 정보들을 디지털 세상 속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됐어요. 스마트폰 하나로 쉽게 올리고 공유할 수 있게 된 덕분이지요. 디지털 문지기가 막을 정보는? 그런데 디지털 문지기가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