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확률│자가검사키트 결과 믿어도 될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인식하는 ‘항체’를 코팅해 채취한 내용물과 반응하는지 파악하는 방법이에요. 면역
세포
는 몸속에 들어온 바이러스를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면역력을 가지는 항체가 만들어져요. 코로나19에 걸리면 자가검사키트에 있는 항체에서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알아내는 겁니다.그런데 두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에너지가 높은 입자나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물질. 방출된 입자, 전자기파는 생명체의
세포
를 망가뜨린다.* 파섹 : 우주공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 1파섹은 3.26광년이다 ... ...
인간과 원숭이의 키메라 탄생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계획이다. 벨몬테 교수는 “그동안 인간과 동물의 키메라는 생성 효율이 극히 낮고 인간
세포
가 숙주 종에 통합돼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며 “영장류를 이용하면 인간과의 진화적 거리를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거치지 않았던 데다, 불가리스 7종류 제품 중 1종류 제품에 대해서만 코로나19 항바이러스
세포
실험을 했음에도 불가리스 제품 전체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품명을 특정했기 때문입니다. 남양유업은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불안감을 주가를 띄우는 데 악용했다는 의심을 피할 수 없었죠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관찰하는 도구는 현미경입니다. 17세기 광학현미경을 발명하면서 인류는 처음
세포
를 발견했고, 1931년 전자현미경을 개발하면서 바이러스처럼 작은 물체도 관측할 수 있게 됐습니다. 1981년에는 주사터널현미경(STM)을 개발하면서 원자를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분해능을 얻었습니다. 원자를 시각화할 ... ...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이젠 가구를 만들기 위해 굳이 나무를 자를 필요가 없을 거예요. 지난 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루이스 페르난도 벨라스케 ... 단단한 정도로 리그닌의 양을 늘릴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원하는 모양의 틀 속에 식물
세포
를 키워 가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유와 레몬즙만 있으면 나도 백선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구조를 보면 기름이 레시틴에 싸여 물속을 둥둥 떠다니는 상태지요. 레시틴은 우리 몸속
세포
에도 들어 있어요. 레시틴 없이는 영양분의 운반과 흡수, 노폐물 배출을 할 수 없지요. 용어정리*응고 :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것 ... ...
변이 vs. 백신 재설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있다.모더나와 화이자는 전달체(벡터)에 넣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전령RNA(mRNA)를 인간
세포
내부로 침투시켜 체내에서 항원을 만들도록 하는 mRNA 백신을 개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항원의 mRNA를 기반으로 만든 상보적DNA(cDNA)를 바이러스 벡터인 아데노바이러스에 넣어 체내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 ...
[과학동화] 토끼와 용왕, 모두의 해피엔딩 '별주부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폴리에틸렌글리콜로 만든 오가노이드의 지지체 위에서 배양한 결과, 제브라피시 간
세포
들이 스스로 결합해 28일 동안 형상을 유지했죠. 연구팀은 이 방식을 활용해 화학물질의 영향을 6주 이상 평가할 수 있는 간 오가노이드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제브라피시 간 오가노이드 연구는 동물실험의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존재하는 현상이다. 엽록소를 형성하지 않는 돌연변이가
세포
한 개에서 발생한 뒤
세포
분열을 통해 수를 늘려 무늬를 형성한다. 흰색 무늬를 갖게 되면 벌레들이 이미 벌레 먹은 곳이라 판단하고 그 부분은 공격하지 않는다. 몬스테라 외에 칼라테아속(Calathea) 식물들도 비슷한 무늬가 있다. [Caution]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