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현미경이 포착한 환상적 아름다움 - 세포 속을 탐험하는 예술가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예술이 만났다. 눈으로 보는 것보다 더욱 화려하고 아름다운 현미경 속
세상
이다. 일본의 카메라 제조 기업 니콘(Nikon)은 2022년 10월 13일 ‘제4 8회 니콘 스몰월드 사진전’ 수상작들을 발표했다. 이번 대회에는 전세계 72개 나라에서 1300개 이상의 작품이 모였다. 일부분을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여 한 ... ...
2022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혁신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아이디어를 ‘한 꼬집’ 넣은 제품으로 유명한 기업이다. 창립자 인 제임스 다이슨부터
세상
에 질문을 던지길 좋아하는 발명가다. 그런 제임스 다이슨이 차세대 인재 양성을 위해 2005년부터 매해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개최하고 있는 건 어쩌면 당연하다. 이번 토크쇼는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
[출동! 슈퍼M] 비행기 원리 이용한 선풍기가 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009년 영국의 전자제품 회사 ‘다이슨’은 날개 없는 선풍기를 만들어
세상
에 선보였어요. 가운데가 뻥 뚫린 고리 모양이고, 원통 모양의 기둥이 받치고 있는 모양이지요. 날개 없는 선풍기의 원기둥 받침대에는 비행기 제트엔진의 원리가 쓰였어요. 비행기에 사용되는 제트엔진은 날개를 돌려 바깥 ... ...
[폴리매스]
세상
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책을 읽다가 그와 관련된 다른 분야의 책을 찾아 읽지요. 책 속에서 친구도, 꿈도, 넓은
세상
도 만날 수 있어서 좋아요. 이런 습관이 골든벨을 울리는 데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요. Q. ‘마하’ 동아리 활동 중에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문제를 푸는 시간이 있다면서요?네, 맞아요. 2주에 한 번 4시간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말이다. 누구든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는 약속이 있기 때문에 지금의 자유로운 인터넷
세상
이 가능한 셈이다. 이 관점에서 망 사 용료를 생각해 보자. 전 세계의 ISP가 각자 망 사용료를 걷는 순간 인터넷 사용료는 치솟을 것이고, 모두가 자유롭게 드나드는 인터넷은 무너지고 말 것이다.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수학 공부를 학창시절부터 하길 바랍니다. 생각의 힘을 키우면 미래에 여러 분야에서
세상
을 변화시킬 수 있는 많은 일을 할 수 있거든요.” 한국여성수리과학회(KWMS)와 엔씨소프트가 창립한 엔씨문화재단은 업적이 뛰어난 만 40세 이하의 우리나라 젊은 여성수학자를 지원하기 위해 2017년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적 사고로 바라본
세상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여러분은 일상 생활 속에서 수학적 사고를 얼마나 하나요? 저는 수학 기자로서 나름 수학적 사고를 잘 한다고 생각했지만 요즘 제 주식 현 ... 밴드의 해체 이유는 벡터적 사고로 설명하지요. 여러분도 수학적 사고로 더 재밌고 넓은
세상
을 보고 싶지 않나요? 그렇다면 이 책을 읽어보세요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인화할 수 있는 장비가 있습니다. 관우 씨는 “특히 습판은 사진이 매번 다르게 나와서
세상
에 하나뿐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에요”라고 말합니다. 콜로디온 습판법은 1851년 영국의 조각가 프레드릭 아처가 개발한 사진기법입니다. 콜로디온은 알코올과 에테르에 나이트로셀룰로오스를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022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 현장에
세상
의 이목이 쏠렸다. 고유전체학부터 양자얽힘에 대한 연구, 클릭화학과 생체직교화학까지. 노벨상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멀리는 1960년대부터 가깝게는 20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들의 연구는 현재 우리의 생각과 삶을 바꿔놨다.20 ... ...
[화보] 콕콕, 네모 세계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더 다양한 작품을 만들고 싶어요. 이건 다소 허황된 계획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세상
모든 사람이 픽셀로 만들어진 얼굴 사진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주민등록증처럼요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