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이웃 은하의 중력 영향을 받아 외곽에서 풀어져버린 결과다. 이는 곧, 우리 은하의
새로운
큰 나선팔을 따라가면 여태 몰랐던 이웃 은하를 발견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새로 찾은 나선팔은 우리 은하가 아름다운 나선 모양을 이루기까지의, 그 역학적 진화 과정을 밝힐 핵심 단서가 될지 모른다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TW’를 관측하고 항성 피드백을 연구할 예정이다. 항성 피드백이란 은하계에서 별이
새로운
별의 탄생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현상으로 은하계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건 정말 쉬운(easy) 프로젝트야!’ NASA 연구팀과 BITSE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했던 최 책임연구원은 “그들의 말이 부럽게 ... ...
던전 앤 드래곤 : 도적들의 명예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옛 동료인 ‘사이먼’과 새롭게 합류한 ‘도릭’, ‘젠크’와 팀을 꾸립니다. 그런데
새로운
팀원들은 악당들과 싸우기에 조금씩 부족해 보이는데요. 이들은 과연 무사히 부활의 서판을 되찾고, 모험을 끝마칠 수 있을까요?관전 포인트 ② ‘아이언맨’ 시각 효과 슈퍼바이저가 만든 ... ...
[ 2022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아버지를 찾았을 것이다. 설진은 알고 있었다. 사내의 손가락이 향하는 곳에서 아버지가
새로운
숨을 쉬고 있으리라는 것을. 설진은 사내가 새싹을 향해 손을 뻗지 않기를 내심 기대해 보았다. 그러나 사내는 제 할 일을 할 뿐이라는 듯, 무심하게 손을 뻗어 조그마한 새싹 하나를 가리켰다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딱지가 없다면 아직 진행 중인 문제이므로 언제든 문제 풀이에 참여한다. 해결된 문제도
새로운
풀이가 있다면 댓글 작성 후 정답 확인 요청을 한다. 수직선 위의 점 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7852 부분집합의 분포 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785 .. ...
[과학뉴스] 렘브란트의 작품 에서 납 화합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이번 연구는 렘브란트의 그림 기법에 대한 정보를 줄 뿐만 아니라 미술 복원의
새로운
길을 보여준다”고 말했답니다.☞오디오 기사를 들으려면 http://m.site.naver.com/15wwj *용어정리린시드유 : 색을 내는 물감의 원료가 캔버스 표면에 붙을 수 있게 하는 기름으로, 17세기 유화 그림에서 가장 흔히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야오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유리개구리를 깨우지 않고 관찰하기 위해
새로운
광음향현미경을 개발해야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초음파를 분석해 유리개구리가 잠잘 때 적혈구는 간으로 향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수면 상태의 유리개구리는 혈액 속 적혈구의 89%를 간에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1900년 막스 플랑크가 제안한 양자 개념을 최초로 응용한 것이었으며 1913년 보어의
새로운
원자 개념이 나오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론적으로 보면 광전효과는 플랑크-아인슈타인-보어로 이어지는 양자 개념의 확장에서 빠질 수 없는 연결고리였던 셈이다. 게다가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것들이어서 더욱 뜻깊다. 더 즐거운 과학을 위한 앞으로의 도전 내 삶의 신조는 늘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노력하는 것이다. 지난해 말 EBS 파견교사로 뽑혀 2023년부터는 EBS 창의융합교육부에서 근무 중이다. 과학 발명 분야와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교육 분야의 콘텐츠를 제작하며 관련 내용으로 ... ...
공동연구 잘~하는 비결은?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밝혀낸 (김상겸 충남대학교 약학과 교수) 김 교수는 제 전공을 이해해 나가면서 제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많이 던져줍니다. 이번 논문의 핵심인 ‘약물대사효소의 농도’도 김 교수가 제안한 겁니다. 저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못한 개념이었어요. 연구를 내면 논문 검수자의 중요한 질문에 답하고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