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드러낸다는 생각에 연구진들은 설렘 반, 걱정 반인 상태”라며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
사업
단의 최종 목표는 라온을 문제없이 완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단장은 또 “라온 완공 뒤에도 누구보다 라온을 잘 아는 연구자로서 라온을 보살피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이어졌다.“사실 대한민국 정부가 소행성 방어하는 일에 무슨 관심이 있겠냐? 그냥 자선
사업
비슷하게 그냥 돈 버리듯이 하는 거지. 우리 같은 연구소는 정치인들이 말만 조금 험하게 한다 싶으면 하루 아침에 그냥 확 없애 버릴 수도 있는 거잖아. 소행성 연구에 누가 신경을 쓰냐고. 그렇게 안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연 우버가 전기자전거 공유 스타트업인 ‘점프 바이크’를 인수하면서 자전거 공유
사업
에 뛰어들었다. 땀 흘리지 않고 편하게 탈 수 있는 전기자전거가 자동차를 대신할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모터에 달린 센서가 힘 인식전기자전거는 말 그대로 충전된 배터리를 장착해 모터를 돌려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2021년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완공되면 한국은 명실상부 가속기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이미 세계에서 3번째로 완공돼 활약 중인 양성자가속기와 4세대 방사 광가속기에 이어 마지막 퍼즐이 맞춰지기 때문이다. 이들 가속기는 한국을 대표하는 ‘가속기 삼형제’로 활약하게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을 돕고 싶습니다. 두 번째 우주인
사업
은 첫 번째 우주인
사업
과 목적이나 동기 등이 많이 달라질 겁니다. 처음 우주인을 배출하며 실수했던 부분들을 제가 막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 ...
[에디터 노트] 왕관의 무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비꼬는 시선도 있다. 정부의 우주인
사업
은 일회성으로 끝났고, 제2 우주인
사업
은 시작도 못했다. 이 씨는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가 2014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사표를 냈다. ‘우주 관광객’이라고 비꼬는 시선은 ‘먹튀 논란’으로 이어졌다. 이 씨는 ‘한국 첫 우주인’이라는 왕관을 썼다.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다른 제네럴 컴퍼니 서클(GCC·General Company Circle)이라는 방식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사업
부제/기능부제 조직이 소수의 리더에게 의사결정 권한이 편중돼 있다면 서클에서는 서클 구성원이 상호 협상을 통해 각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구성원을 선정해 그에게 리더십을 부여한다. 즉,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마련돼 대회 분위기를 달궜다. 장 센터장은 “해양수산부의 수중건설로봇개발
사업
을 진행하면서 수중로봇 기술을 개발하는 일만큼 미래 수중로봇 전문가를 키우는 일도 중요하다고 느꼈다”며 “앞으로도 청소년들이 수중로봇에 관심을 갖고 꿈을 키우길 바란다”고 밝혔다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프로젝트의 결과가 발표되자, 미생물학자들은 인간의 미생물군을 대상으로유전체 분석
사업
을 시작하자는 제안을 했습니다. 2000년 미국미생물학회장을 역임했던 줄리안 데이비스 박사는 2001년 3월 국제 학술지 ‘ 사이언스 ’에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우리는 인간 유전체에 각인된 3만 개의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고구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을 개발하는 등 고부가가치
사업
도 가능하다. 곽 책임연구원은 “255년 전 대마도를 통해 한반도로 들어온 고구마는 남한을 거쳐 북한까지 퍼졌다”며 “공동연구를 통해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하고, 남한의 식량 수급불균형 문제 해결에도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