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보유
저장
관리
보호
침전물
갈무리
d라이브러리
"
보관
"(으)로 총 1,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40L는 되어야 하지요. 그 이유는 벌들이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집안에 꿀을
보관
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꿀은 오랫동안 저장해도 상하지 않아요. 먹이를 구하기 힘든 한겨울에 꿀벌의 식량으로 안성맞춤이지요. 게다가 꿀벌은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날개 근육을 움직여서 열을 발생시켜요. 겨울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세련된 공예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 중 12종은 국보로 지정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보관
·전시 중입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는 왕비의 신체 일부도 전시돼 있다고 하니, 시간을 내어 꼭 둘러보세요.특별한 모양의 연못을 품은 공산성국립공주박물관을 나와 차로 5분쯤 이동하면 공산성에 도착할 수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노드 역할을 하는 위성에 정보가 도착하면 그때마다 ‘일시멈춤’하고 대용량 메모리에
보관
한다. 다음 위성까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그제야 내보낸다. 중간에 정보 손실이 생겨도 지구에서부터 다시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다. 바로 직전 위성에서 재전송하면 된다.지연허용망은 원래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드디어 괴도키드가 나타난 것 같아. 그 녀석이 여기 오기 전에 어서 그림을 안전한 곳에
보관
해야겠어. 내가 고흐의 ‘해바라기’를 괴도키드로부터 지키는 활약을 좀 더 지켜보고 싶다고? 그렇다면 극장판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 화염의 해바라기’에서 만나자~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비율 등의 정보는 암호화된 파일의 헤더(데이터 파일의 정보가
보관
돼 있는 부분)에 첨부된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RSA알고리듬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대해 백종현 한국인터넷진흥원 융합보안산업팀장은 “모든 사물인터넷 기기에 높은 안정성이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덕분에 정교한 번식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수 있었다는 관점이다. 암컷이 수컷의 정자를
보관
하는 것도 종 전체로 보면 이득일 수 있다. 적대적인 경쟁이 아니라 일종의 ‘공진화’를 한 셈이다. 또한 성 갈등은 생식계통을 변화시켜 종 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됐을 수도 있다. 논문의 말미엔 이런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60℃ 정도의 저온에서 와인을 끓여서 살균 처리를 했다. 이 방법으로 와인을 오랫동안
보관
할 수 있게 됐지만 맛은 호불호가 갈렸다. 아무리 낮은 온도라곤 하지만 와인을 한번 끓이면 향이 다 날아갔다. 포도 향이 있으면서도 잘 익은 와인을 마실 수 있게 된 것은 0.5㎛ 크기의 필터로 미생물을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소금 섭취를 줄인 결정적인 원인은 냉장고였다. 더 이상 생선이나 고기에 소금을 쳐서
보관
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공식품과 외식이 늘어나면서 소금, 다시 말해 나트륨 섭취는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나트륨 피하는 최선의 길은 소식짠 음식이 고혈압을 일으킨다는 것은 이제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포는 실패에 실을 감듯 DNA를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묶어
보관
한다(이 구조를 뉴클레오솜이라고 한다). 이때 실패 역할을 하는 동그란 공처럼 생긴 ‘중앙 히스톤’은 H2A, H2B, H3, H4 히스톤이 두 개씩 결합한 팔량체로, 150여 개의 DNA가 이 팔량체에 감긴다. 이외에 H1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약해진 문화재를 건강하게 만든다이렇게 발굴된 유물은 선체의 유물
보관
실에
보관
되다가 태안보존센터로 옮겨져 복원된다. 보통 수중 문화재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도자기다. 실제로도 수중 문화재 중 90% 이상이 도자기다. 그래서 ‘수중 문화재는 도자기’라는 인식이 강한데, 사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