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어트 콜라와 멘토스 사탕이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주변으로 물이 얼기 시작한다. 대신 온도가 영하 40℃까지 떨어져야 한다. 하지만 먼지나
박테리아
같은 불순물이 있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불순물 자제가 핵이 되기 때문이다. 0℃가 되면 핵이 되는 불순물로 물 분자가 모여들면서 얼음이 형성된다.액체가 기체로 바뀔 때도 마찬가지이다. 충분히 ... ...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반복했다.그 뒤 빙하기가 끝나고 대륙이 다시 조각나면서 해빙기가 올 때 산소를 내뿜는
박테리아
와 ‘진핵세포’로 불리는 다세포 유기물이 지구에 처음 등장했다. 따라서 고미생물학자에게 수천, 수백만 년 동안 영구동토층 안에 ‘냉동보존’ 돼 온 다양한 미생물은 생명 진화의 비밀을 푸는 ... ...
2. 식물에서 찾은 다이어트 묘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카페인은 원래 식물이 곤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물질이다. 카페인은
박테리아
나 곰팡이를 죽이고 곤충과 유충의 성장을 방해한다. 순수한 카페인은 독성이 강해 사람이 10g만 먹어도 사망한다.최근 살을 빼려는 이들이 카페인에 주목하고 있다. 카페인이 신체대사율을 높이고 지방을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요인’이라는 깨달음을 얻고 일반 독자를 위해 이 책을 썼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박테리아
에서 100m가 넘게 자라는 세쿼이아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크기인 지구상 생명체들은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됐을까.저자는 먼저 ‘걸리버 여행기’의 삽화처럼 전체적인 모습은 그대로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야코프병(vCJD) 즉 인간광우병을 일으키는 주범인 변형 프리온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같은 생명체도 아닌 자그만 단백질 분자일 뿐이다. 게다가 프리온은 우리 몸 곳곳에 퍼져 있다.도대체 프리온은 왜 생겨나서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 걸까? 한국인은 MM형 프리온이 많아 인간광우병에 취약할 수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물질이기 때문이다.생명체와 비생명체를 나누는 가장 큰 특징은 생명체의 번식 여부다.
박테리아
는 외부에서 영양물질을 획득해 스스로 번식하는데 반해 바이러스는 다른 세포 내부에 침입한 다음 숙주세포의 유전물질 속에 들어가야만 번식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와 비생명체의 중간단계에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2중사슬 분자와 똑같은 2중사슬 분자를 새로 만드는 것 DNA를 복제하는 효소 여러 가지
박테리아
와 동물조직에서 추출되고 있으나 특히 대장균에서 추출정제된 것을 대상으로 그 작용기구가 연구되고 있다 ?~? 그리스의 수학자 BC 2세기 후반에 활약했다시소이드 곡선[疾走線]의 발견과 그것을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개발담당 부사장인 네일 레닝거는 아미리스가 현재 탄화수소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박테리아
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아미리스는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가솔린과 디젤을 대체하는 탄화수소 연료뿐만 아니라 비행기에 사용되는 제트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해설논문에서 “이 교수팀의 실험은 정상적인 미생물 생태계가 유지되기만 해도 병원성
박테리아
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동물의 면역반응이 미생물 공동체를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함을 알게 됐다”고 평가했다.장내 유익균에 영양제 준다항생제나 면역계 이상으로 장내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조 단장의 관심은 정상적인 세포를 돌연 암세포로 둔갑시키는 유전자에 맞춰져있다.
박테리아
같은 원핵생물과 달리 고등생물은 세포분열 과정에서 DNA 복제가 한 번만 일어난다. 바로 제미닌이라는 단백질이 DNA 복제가 또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는 ‘사령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조 단장은 그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