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령
지휘
훈령
통제
판결
분부
d라이브러리
"
명령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올라간다. 놀란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에 급하게 호르몬 중지
명령
을 내려 배란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킨다. 또 자궁경부 점액을 끈끈하게 만들어 정자의 이동을 방해한다. 수정이 이뤄지는 난관의 운동능력도 떨어진다. 이어 자궁내막을 변형시켜 착상을 막는다.종교계는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개의 위치와 움직임을 GPS를 통해 정확히 파악한다. 지난해 초 오번대의 실험에서는 개가
명령
의 99%를 정확히 수행했다.이렇게 훈련된 개는 마치 로봇처럼 사람이 하기에는 위험한 일에 투입된다. 폭탄 탐지나 약물 추적, 강력범죄자 추적 등이다. 현재 오번대 연구팀은 3~4마일(약 4.8~6.4km) 떨어진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챔피언을 이겼으며, 퀴즈쇼에서 인간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아이폰의 시리는 말로 내린
명령
을 알아듣고 답을 알려준다. 구글 자동차는 미국에서 무인 운전 자동차 면허를 따내는 데 성공했다. 이미 지난 이야기가 됐지만 검색엔진이 최고의 답을 찾고 페이스북이 ‘나를 알 만한 친구’를 찾아주는 ... ...
내 가슴은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프랑스 정부는 이 제품을 삽입한 모든 여성에게 보형물 제거
명령
을 내렸다. 확인된 피해자만 프랑스에서 3만 명, 영국 5만 명 등으로 불법으로 유통된 것까지 합하면 세계적으로 수십 만 명의 피해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볼륨 있는 몸매를 원하는 여성이 늘면서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비달 교수는 캐시처럼 뇌에 직접 전극을 이식하는 대신 두개골 바깥에서 뇌파를 측정해
명령
어로 이용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두개골을 열지 않아도 돼 훨씬 안전했다. 하지만 단점이 있었다. 두개골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고 두개골의 두께만큼 뇌세포에서 멀기 때문에 정확한 신호를 얻기가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스마트폰에 설치된 후에는 사용자와 스마트폰 정보를 탈취하고 해킹 서버와 통신하며
명령
을 수행하는 악의적인 악성코드다.스마트폰 3000만 시대로 가고 있는 지금 모바일 보안 위협은 ‘뭐 그런 일까지 발생할까’ 수준을 넘어섰다. 김씨 사례에서 보듯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 악성코드를 심어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어떤 계산이든 할 수 있었죠. 예를 들어, X라는 자연수의 약수를 찾도록 튜링 기계에게
명령
을 내려 보겠습니다.➊ 먼저 N=1이라고 정한다.➋ X를 N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이면 N을 출력한다.➌ X=N이면 멈춘다.➍ N에 1을 더한다.➎ ➋로 돌아간다.이처럼 작은 단계를 하나씩 밟아 문제의 답을 구하는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전류(Leakage Current)라 한다. 이는 반도체 행성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신호를 지켜야
명령
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데 누설 전류는 신호를 무시해 오작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인류는 왜 지금까지 도로(채널) 길이를 줄여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반도체에 집적시켜 왔을까. 왜 22나노에서 10나노 ... ...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난 양자컴퓨터가 소인수분해한 수는?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양자역학의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미래형 컴퓨터로, 기존의 컴퓨터와 달리 한 번의
명령
으로 수많은 계산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보처리량이나 속도가 월등히 뛰어나, 현재의 슈퍼컴퓨터로도 풀 수 없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모이면서 독소를 내뿜어 장을 공격하기 때문이다. 이 때 장내미생물의 결집을
명령
하는 물질이 AI-3다. 이 물질은 사람이 화가 나거나 감정이 격해지면 나오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과 형태가 비슷하다. 이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늘어난 노르에피네프린은 장내미생물의 AI-3 수용체에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