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많지 않았기 때문에 설명서대로 레고를 조립하고 나면 다시 분해해 다른 레고 블록과
막
섞었어요. 그리고 어디에도 없던 새로운 레고 작품을 만들었지요. 그 과정에서 저절로 창조적인 문제해결사가 되었답니다. 이처럼 다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게 레고의 매력인 것 같아요. Q. 앞으로도 계속 레고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
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최한 나노영챌린지의 본상 시상식을 11월 23일 서울 강남구 라마다호텔에서 개최했다. 나노영챌린지는 나노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재미있게도 이 세포의 경우 애니스톤의 다양한 얼굴 사진에는 반응을 보였지만, 당시
막
이혼했던 배우 브래드 피트와 함께 찍은 사진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만으로 얼굴 인식 세포의 기능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A를 인식하는 얼굴 인식 세포가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현재 헨더슨 박사의 연구 터전인 LMB에서 연구하고 있다. 극저온전자현미경 혁명이
막
시작되던 2013년부터 이곳에서 일하기 시작해, 그 과정을 전부 지켜볼 수 있었다. 헨더슨 박사 덕분에 LMB는 최적화된 전자현미경을 가장 먼저 시험해볼 기회를 가졌다. 그 결과 극저온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최초의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바로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중 가장 바깥쪽인 경
막
에 있는 림프관이다. 뇌에서 생겨난 쓸모없는 단백질은 이 림프관을 통해 배출된다. 연구를 이끈 대니얼 라이히 박사는 “림프관을 통해 뇌에서 노폐물을 버리는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다”면서 “특히 지금까지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오지 여행가 ‘ 바라프게 다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 썰렁홈즈. 오랜만에 떠나는 여행이라 짐을 싸면서 자신도 모르게 콧노래가 흘러나왔다.
막
출발하려던 순간, 갑자기 휴대전화가 울렸다.“썰렁홈즈님! 저는 여행가 ‘바라프게 다가마’예요. 오지 여행을 하고 있었는데 그만 길을 잃고 말았어요. 도와 주세요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부풀리면 섬유질 그물망은 그대로 있고 실리콘 탄성중합체만 늘어나면서 평평한 2차원
막
이 울퉁불퉁한 3차원 모양으로 바뀐다. 사전에 그물망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최종 모양을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제임스 피쿨 코넬대 기계항공공학과 박사는 “지금까지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난자로 성숙하기 이전의 세포로 제2난모세포 상태로 정자와 만난 뒤 난자가 된다)의
막
을 건드려 자극을 주거나, 난자를 체외성숙 시킨 뒤 전류를 흘려주면 된다. 그럼 난자는 정자가 들어와서 발생하는 전류라고 착각해 스스로 분열을 시작한다. 처녀생식은 2005년 황우석 박사(현 에이치바이온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혹시 내 올빼미형 생활 패턴은 부모님께 물려받은 것은 아닐까?’ 분자생물학 연구를
막
시작한 필자가 개인 차이를 무시하고 출근 시간을 일괄적으로 정해버리는 실험실 규칙의 부당함에 맞설 수 있는 방법은 이처럼 귀여운(?) 가설을 세우는 것뿐이었다. 필자는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한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세라믹과 케블라 섬유를 소재로 한 경량 복합장갑으로 만들면 날아오는 탄두를
막
아낼 수 있다. 배트모빌 차체는 티타늄과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tube)를 혼합한 복합재료를 추천한다.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킨 탄소나노튜브 때문에 강도가 월등히 높고 가벼운 티타늄 합금이 만들어 진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