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실을 개발해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꼬아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을 만들었다. 이 실은 지름이 60~7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보다 얇다. 스프링 구조를 갖고 있어 30%가량 수축·이완된다. 연구팀은 이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절망적인 것이었습니다. 제 몸에는 두 개의 뇌가 들어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나노기술로 만들어진 인공두뇌가 기존 뇌와 포개진 상태로 구축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니 두 뇌 사이의 연결은 생각만큼 어려운 게 아니었습니다. 바로 옆에 붙어있었거든요. 꺼버린 기능을 인공두뇌가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방법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개발했어요. 그 다음, 이를 시금치의 잎사귀에 발랐답니다. 시금치 뿌리가 TNT가 섞인 물을 잎사귀로 전달할 거라고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스마트폰에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안쪽 벽에 내피세포가 촘촘하게 붙어 혈관벽을 만든다(뇌혈관장벽). 그래서 크기가 0.1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정도로 매우 작은 물 분자조차 통과하기가 어렵다. 고 단장은 “대뇌에서 모세혈관벽을 이루는 내피세포 사이의 간격은 영양분은커녕 물 분자도 지나가기 어려울 만큼 좁다”며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말해요. 이렇게 작은 플라스틱은 세포의 막을 통과할 수도 있지요. 만약 독성을 가진 나노 플라스틱이 세포막을 통과해 몸이나 뇌 속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간다면, 건강에 더욱 더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석유에서 처음 만들어진 플라스틱 기본 재료인 플라스틱 펠릿. ▼관련기사를 계속 ... ...
- [과학뉴스] 추석 과일엔 ‘나노 코팅’을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가진 철 이온과 화학적으로 강하게 결합해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특성을 이용해 폴리페놀 나노입자를 스프레이로 뿌리는 코팅 기술을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과일을 코팅 용액에 담갔다 빼는 기존 방식으로는 과일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스프레이로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사람들이 흙을 퍼 날라야 하는 하수처리 연구는 힘들 거라고 했어요여성이니까 섬세한 나노기술 연구를 잘 할 거라고도 했죠제가 진짜 하고 싶은 건 하수처리 연구였는데 말이에요" 사업화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번뜩 들었고 약 4개월 만에 일사천리로 회사를 설립했다. 박사학위를 가진 전문가라 ... ...
- [과학뉴스] 패혈증 잡는 나노입자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독성을 최소화시키고,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연구팀이 급성 패혈증을 겪는 쥐에게 이 나노입자를 투여하자, 감염 2주 내 생존율이 약 2.5배 높아졌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판 7월 5일자에 실렸다.doi:10.1002/anie.20170490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지만, 이들을 측정해 진단에 활용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이 더디다. 2000년대 이후 나노기술의 발달로 관련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혈액이나 소변에 들어 있는 질병 관련 단백질 등의 물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밀하게 측정하려면 센서를 작게 만들어야 하는데, ... ...
- [과학뉴스] 50초 만에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되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수 있는 구멍(공극)을 크게 만들어 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었다.드렉셀대 드렉셀 나노재료연구소 마리아 루카츠카야 박사는 “여러 차선을 가진 고속도로와 같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 에너지’ 7월 10일자에 발표됐다.doi:10.1038/nenergy.2017.10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