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너무 감동했죠. 저도 이렇게 소통을 잘하는 교수가 되려고 지금도 노력 중입니다. 타오 교수가 제 전공 분야뿐 아니라 더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면서 자주 볼 기회는 없어요. 하지만 저는 늘 그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낍니다. 틈날 때마다 그의 블로그를 보며 지금 수학계가 어디로 나아가고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대회예요. 1981년 당시 MIT 응용수학과 3학년이었던 앤드루 버노프 미국 하비 머드 칼리지 교수가 ‘수학의 근본은 적분’이라고 생각해 개최한 대회입니다. MIT에서는 매년 이 대회를 열고 최후 4인에게 ‘위대한 적분가’라는 칭호를 붙여줘요. Q. 대회 중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어요? 4강 때 정말 ... ...
- [과학뉴스]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문 여는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한다. 이 모든 동작 궤적은 모두 1분 이내에 생성됐다. 연구팀을 이끈 쟝-피에르 슬레이만 교수는 “새로 개발한 프레임워크는 로봇이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힘을 행사해야 하는지, 어떤 관절을 이용해야 하는지, 언제 어디서 물체와 상호작용해야 하는지를 총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고 설명했다 ... ...
- [기획] 왜 기분 좋아질까?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4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한국에서는 2:1:2 리듬을 잘 인식하는 그룹이 발견됐다. 바로 국악 전공자들이다. 이 교수는 “2:1:2로 진행되는 5박 리듬은 국악에서 ‘엇모리 장단’이라는 이름으로 쓰인다”며, “5박 리듬에 익숙하지 않은 서양 음악 전공자는 한국인 일반인보다도 이 리듬을 잘 인식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자동차라는 운송수단이 생긴 이래로, 자율주행은 인간이 항상 꿈꿔온 궁극적인 기술이었습니다.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는 내 차로 원하는 곳에 안전하게 간다는 상상은 그만큼 매력적이었죠. 최근엔 이런 자율주행을 도로 위에서 실현하는 것을 넘어 공중으로도 확장하려 하고 있습니다. 일명 ‘ ... ...
- [가상 인터뷰] 곤충 톡토기 피부 모방해 막히지 않는 인공 혈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굳어버려서 혈관이 막히는 부작용이 있었거든.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최연호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혈관의 표면으로 의료용 패치, 혈관 운송용 튜브 등 의료기기를 만들고 의료 소재도 개선할 수 있다”며 “방수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과 선박 표면 등 다양한 산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 ...
- 레고시티와 함께하는 소방 안전 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잘 구현했다”고 설명했어요. 수업을 마무리하면서 현성호 교수님은 “어린이들의 발표력과 과학 지식에 감탄했다”며 “어린이와 함께 수업하는 게 오랜만이었는데 정말 좋은 경험이었다”고 방송 소감을 밝혔답니다. 2교시. 레고를 조립해 사람들을 구하고 화재를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되더라고요. 아마 IMO의 영향을 받은 것 같아요. IMO를 준비하며 만난 수많은 선배, 교수님께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듣게 돼 수학과 진학에 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됐거든요. 또한 IMO에서 받은 좋은 성적으로 자신감도 갖고 있었습니다. IMO를 통해 쌓은 실력이 수학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되지 ... ...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보이는 카리나 성운의 이미지는 압도적인 크기로 인간을 왜소하게 만든다. 케슬러 교수는 이런 이미지들이 19세기 미국의 풍경화가들이 장엄하게 묘사한 미국의 풍경과도 닮아있다고 말했다. “허블 우주망원경을 운영한 천문학자들은 허블이 촬영한 우주가 일상의 고민을 뒤로 하고 신비로운 ... ...
- [최신 이슈] 우리 집 외동 식물 산세베리아, 반려식물병원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21273/HORTTECH.13.1.0081 미든 교수팀은 두 개의 장기요양시설에 노인들을 각각 31명씩 모았다. 하나의 시설에서는 노인들이 7주 동안 주기적으로 원예 활동을 했고, 다른 시설에서는 일상적인 생활만 했다. 7주가 지난 뒤 실험군과 대조군의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