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환경이 구현된다면 사람이 하나하나의 공정을 관리하지 않더라도 기계가 의사
결정
을 통해 공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더 적은 인력을 투입해도 설비의 고장률이나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데이터로 만드는 스마트팩토리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공정의 이상을 ... ...
[수학뉴스] 우주의 정보량을 알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저장된 정보량을 나타내요. 하지만 우주 전체의 입자에 들어있는 쿼크가 입자의 성질을
결정
하는 정보량도 비트로 나타내요. 봅슨 교수는 입자 1개 당 정보량과 우주 전체의 입자 수의 곱으로 우주의 정보량을 구했어요. 먼저 입자 1개가 가진 평균 정보량을 계산하기 위해 ‘샤넌의 정보 이론’을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7화. 샤롱가 납치 사건의 대 반전!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표정으로 은퇴를 선언했습니다. 우려와 달리 관객들은 모두 아쉬워하면서도 샤롱가의
결정
을 존중하고 앞날의 행복을 기원해 주었습니다. 딱지와 용용도 그 모습을 보면서 박수를 쳤습니다. 샤롱가가 무사해서 다행이야! 해롱 호 대원들의 다음 임무는 뭘까?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따뜻한 방 안에서 어른을 위한 눈놀이를 하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뒤 투명하던 수용액에 흰색
결정
이 눈송이처럼 생겨납니다. 자세히 관찰하면 염화암모늄
결정
이 점점 커지는 모습도 볼 수 있어요. 소복이 쌓이는 염화암모늄 눈송이를 보니 아이처럼 설레는 기분이 듭니다. 어쩌면 마음속에 눈을 보며 기뻐하는 아이 하나쯤 남겨둬도 좋을 것 같지 않나요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않았다. 다만 국가 간의 협의만 남은 상황으로 조만간 협의를 거치면 착륙 일정이
결정
될 예정이다. 심 선임연구원은 “루셈을 비롯해 국내 개발 달 착륙선 탑재체 4대를 모두 달에 보내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며 “선정 여부에 상관없이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혹시 선정되지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시간을 쓰면 기한을 맞출 수 없었다. 다음 세대 아이들의 생사는 그만큼 아슬아슬하게
결정
되고 있었다.장만은 홀로 기쁨을 맛보기 위해, 과열된 몸을 잠시 식힐 겸 점점 구름으로 덮여가는 밤하늘을 올려다 봤다. 그리고 두 집게발 사이에 위치한 광각카메라가 고장난 건 아닌지 의심했다. 불룩한 ... ...
[특집] COP26 어린이가 감시하자! 다음 숙제는 무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두드리는 소리가 울렸습니다. 낙제점을 받은 2030 NDC 숙제를 1년 뒤에 다시 검사하자는
결정
을 내렸어요. 이를 포함해 파리기후협약을 지키기 위한 또다른 숙제가 한아름 생겼습니다. 어떤 숙제일까요? 검사해야 할 숙제2022년 11월까지2030 NDC 다시 해오기 세계 각국은 2030 NDC를 다시 정해오기로 ... ...
[기획] 2022동계 올림픽 눈 없는 곳에서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생겨요. 그래서 물방울의 부피가 1이라면 인공 눈은 2~3배, 자연 눈은 15배에 이릅니다.
결정
사이 빈 공간이 많은 자연 눈에 비해 인공 눈은 잘 뭉치고, 미끄러져 겨울 스포츠에 활용돼요. 인공 눈은 기온과 습도, 공기 중에 분사돼 떠있는 시간에 따라 설질이 민감하게 달라집니다. 온도나 습도가 높아 ... ...
[과학뉴스] 수능 생명과학Ⅱ 출제 오류, ‘진실을 외면해야’ 답을 낼 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결함이 있지만, 여전히 (정답을 가려내는) 기능을 충분히 한다는 점에서 정답을 유지하는
결정
을 내렸다”고 말했다.해외 전문가들이 비판에 합류하며 사태는 더욱 커졌다. 집단유전학 전문가인 조너선 프리처드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생물학과 석좌교수는 12월 11일 트위터에 문제에 관한 해설을 ... ...
[과학 뉴스] 반짝반짝 글리터, 식물로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주재료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입니다. 셀룰로오스로 만든 나노
결정
은 표면이 울퉁불퉁한 덕에 여러 빛깔을 반사하는 구조색●을 띠게 돼요. 공작의 깃털이나 CD 뒷면의 알록달록한 무늬가 구조색의 대표적인 예지요.연구팀은 먼저 목재 펄프에서 셀룰로오스를 추출했어요. 추출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