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두리
근교
언저리
끝
경계
주변
주위
d라이브러리
"
가장자리
"(으)로 총 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담수어 북아메리카의 동부평야가 원산지며 하천에 산다 입이 크며 구각(口角)은 눈의 윗
가장자리
에 이르고 몸빛깔이 검다 저온에 견디며 방류나 이식이 쉽고 호소에도 잘 번식하며 맛이 좋아 낚시고기에 알맞기 때문에 미국각지를 비롯해 세계에 이식되고 있다 수생곤충 갑각류 및 작은물고기를 ... ...
개미 눈물만한 액체까지 제어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의한 일반적인 유체의 흐름은 중심에서 가장 빠른 유속을 갖고 유체가 흐르는 길의
가장자리
로 갈수록 점점 느려지는 포물선 형태의 유속분포를 갖는다. 하지만 수μm에 불과한 미세채널에서 이런 흐름을 보여서는 곤란하다. 김 교수는“유체가 미세채널을 꽉 채우지 않으면 유체의 흐름이 끊기거나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성운의 먼지에 의해 산란됐기 때문이다. 이런 성운을 반사성운이라 한다.이제 성운 N30B의
가장자리
를 보자. 신화 속 양의 황금빛 대신 붉은 기운이 감돈다. 붉은색은 성단의 별빛과 수소가스의 합작품이다. 별에서 나온 자외선이 수소가스에서 전자를 떼어내면 얼마 후 수소핵과 전자가 다시 ... ...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전압을 램프의 트리거 전극에 더해 방전시키면 강력한 섬광이 발생한다개기일식 때 달의
가장자리
에서 볼 수 있는 초승달 모양의 채층(彩層)이 발하는 약한 연속광(光)을 동반한 휘선(輝線) 스펙트럼 섬광체의 기능을 가진 유리 평행으로 밀착시켜 배열한 섬유의 열을 1층마다 직교시키고, 다시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 아프리카금잔화라고도 한다높이가 30~50cm이다잎은 주걱 모양이며
가장자리
에 잔톱니가 있고, 줄기잎과 더불어 부드러운 털이 있다꽃은 4~5월에 지름이 4~5cm의 두상화(頭狀花)로 피며 꽃대 끝에 1개씩 달린다꽃색은 등홍색(橙紅色)이며 밤에는 오그라든다보통 가을에 씨를 부려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있는 분지를 말한다대개 단층으로 막혀 있는 쪽의
가장자리
는 직선적이지만 그 반대쪽의
가장자리
는 들쭉날쭉하다중국 산시성(陜西省)과 몽고지방에 많다 파장 07~08μ 의 반도체 레이저 갈륨비소(GaAs)와 갈륨알루미늄(GaAl)의 적층구조(積層構造)를 소자로 사용한다평면 위의 폐곡선(閉曲線)의 하나 ... ...
가을 저녁 펼쳐지는 달과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미리내라고 불리기도 했다.우리의 태양은 접시 모양의 납작한 우리은하의 나선팔 한쪽
가장자리
에 위치한다. 따라서 우리은하가 이루는 평면 방향으로는 많은 별들을 볼 수 있다. 밤하늘에서는 이들이 바로 은하수로 보인다. 은하수는 온하늘을 한바퀴 휘감고 있다. 반면 우리은하 평면에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것이 철칙이다. V형은 낙하한 물의 흐름이 V자의 좌우 끝부분으로 흐르기 때문에
가장자리
쪽으로 접근하면 그 흐름을 타고 역류를 벗어날 수 있다.역류의 두 얼굴, 소용돌이강에 장애물이 있으면 그 주변에서 강물의 흐름이 변한다. 장애물에 부딪친 물살은 장애물을 끼고 돌아가며 가속되고 이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흔히 발견된다. 기단으로 쌓은 흙더미가 무너지기 가장 쉬운 부분은
가장자리
다. 이
가장자리
를 석재 또는 벽돌으로 보강하면 훨씬 더 튼튼한 기단부를 만들 수 있다. 기둥의 중간이 볼록한 배흘림 기둥으로 유명한 부석사 안양루 앞의 석축은 통일신라시기에 조성한 것으로, 역시 같은 시기에 만든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북쪽면에서 호수면의 고도가 천천히 높아졌다. 결국 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호수
가장자리
는 무너지고 폭포처럼 북쪽으로 물이 넘쳤다. 홍수처럼 거대한 물줄기는 수개월 정도, 적어도 1년 이내에 마아딤 계곡을 만들었던 것이다.이같은 연구 결과는 과거에 화성이 따뜻했고 표면에 물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