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09
이미 하고 있다.2012년 3월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은 토륨이온(Th+)을 이용하면 광시계의
한계
보다 10배 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시계를 이온 핵시계(ion nuclear clock)라고 한다. 이 시계가 구현된다면 3조 년 동안 1초가 어긋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온 핵시계는 이론적으로만 제시됐을 ... ...
소년, 위기에 처하다
과학동아
l
201209
일이 생겨서 만나지 못하는 주말을 내심 반기기 시작하는 자신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한계
가 다가온다는 느낌이 든 소년은 또다시 학문에 도움을 구했습니다. 그런데 그 결과가 의외였습니다. 흔히 장거리 연애는 힘들고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거리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209
인간의 만족감을 수치로 표현한 것을 경제학에서는 ‘
한계
혁명’이라고 부른다. 이
한계
혁명은 경제학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모든 상품의 수요를 가격이나 소비자의 소득, 선호에 따라 함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됐고 마찬가지로 공급도 공급함수로 나타날 수 있게 됐다. 즉 인간의 모든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09
있다. 아이폰을 자동차 카오디오에 연결해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오디오만 가능하다는 게
한계
다.두 번째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헤드유닛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스마트폰과 자동차 헤드유닛은 테더링 방식으로 연결된다. 자동차 헤드유닛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
과학동아
l
201208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필자의 대답은 이렇다. 우리는 물리학을 통해 인류의 지적 능력의
한계
가 어디인지 탐구한다. 힉스 입자를 발견하면서 지적 능력의 정수인 표준모형이 완성됐다. 이제 인류의 지적 능력은 우주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 안에 입자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별이 만들어지고,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8
6년)에 백두산 화산 폭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기록은 없다. 전문가들이 이런
한계
를 자주 지적했지만 사람들은 폼페이의 최후를 연상해서인지 이 설을 쉬이 버리려 하지 않는다.사람들은 발해의 넓은 영토에 관심이 많다. 그런데 신라 통일 전후에 시작된 외계충격 현상은 발해 ... ...
8화 캄캄한 동굴 속에서 함정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208
설득했지만 폴은 요지부동이었다. 다른 일행들도 힘들긴 마찬가지였다. 다들 인내심이
한계
에 달했는지 폴을 따라 바닥에 주저앉았다.“여긴 위험한데…. 딱 5분만 쉬었다 얼른 가자.”폴리스는 못내 불안한지 주변을 둘러보며 일행들에게 다짐을 받았다.“토포로지 산맥은 어떤 생명체들이 살고 ... ...
사람도 물 위를 달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08
사람도 바실리스크 도마뱀처럼 물 위를 달릴 수 있을까. 바실리스크가 물 위를 달릴 수 있는 이유는 체중이 가볍고, 발의 면적이 넓으며, 한 발이 빠지기 전에 다른 한 발로 물을 ... 뛰기를 한 점, 중력이 변하면 물의 성질도 변하는 것을 반영하지 못한 점을 이번 실험의
한계
로 지적했다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08
단 하루 분량에도 이미 수백만 장의 이미지가 포함되기 때문에 기존 기술만으로는
한계
가 있다.인공지능더욱 효과적으로 동영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과 정보 검색 분야의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안부터 살펴보자. 우선 인간의 뇌를 흉내내 각각의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08
자책을 했다. 박사과정 5년차에 접어들면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연구량과 체력적인
한계
때문에 힘들었다. 그때마다 동기부여를 받고, 핵심을 찌르는 한 말씀을 듣기 위해 더욱더 교수님을 괴롭혔다. 필자는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학생들이 공대 대학원에 더욱더 많이 진학했으면 좋겠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