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1,5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
과학동아
l
201107
그래서 슈퍼셀에서 쏟아진 우박을 반으로 갈라보면 나무 나이테처럼 수많은 얼음
층
을 볼 수 있답니다.스파우트 박사 전 우박이나 비보다도 토네이도 소리가 더 무서워요. 기자님, 아직 못 들어보셨죠. 귀 바로 옆에서 거대한 야구방망이가 아주 빠른 속도로 휙휙 돌아가는 것 같기도 하고, 그 안에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그러니까 기자가 보고 있는 곳의 깊이가 30m쯤 된다는 뜻이다. 아파트로 치면 10
층
이 넘는다. 이번에는 손 소장을 따라 크레인 위에 올라갔다. 수차발전기 10대를 설치했고, 앞으로 스톱로그를 설치할 때도 쓸 크레인이다. 해발 33m 높이였다. 오르자 발전소와 방조제가 한눈에 들어왔다.“가까이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06
5일 새벽 2시 30분까지 4시간에 걸쳐 진행됐다.연구팀은 먼저 64채널 초정밀컴퓨터단
층
촬영기(MD-CT)를 이용해 미라 전신을 촬영했다. MD-CT 촬영 데이터를 처리하면 내장기관을 포함해 몸 전체를 3차원(3D)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몸 곳곳을 X선으로 찍어 골격상태도 확인했다. 자기공명영상(MRI) 촬영도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6
덮어 놓은 모양이 만들어졌다.❸ 그 후 약 61만 년 전부터 오랫동안 분출하면서 한
층
한
층
용암이 쌓여 뾰족한 모양의 높은 화산이 되었다.❹ 백두산 천지는 세 차례 분화로 만들어졌는데, 고려시대였던 1215년에 분화하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의 천지가 만들어졌다."백두산도 판의 운동에 영향을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06
공동주택에 대한 범죄예방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앞에서 말한 셉테드 기법 외에도 저
층
에 상점이나 주민공동시설을 배치해 길가를 항상 감시하도록 만든다. 셉테드는 CCTV에 비해 프라이버시 침해논란도 줄이면서 더 효과적인 감시수단이 될 수 있다.국내 셉테드 환경은 미국, 영국 등과 비교해 볼 때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06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연료전지의 두께, 특히 전해질
층
의 두께를 줄여 용량을 키우는 것이다. 전해질을 통해 이온이 이동하는 거리를 줄이면 전도율이 높아져 전기를 더 잘 전달한다.연료전지를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 중 이 이론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얇은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5
매끄럽게 만든다.비결 5 자외선을 막아라!머리카락이 자외선을 많이 받으면 큐티클
층
이 얇아지고 성장기에서 탈모기로 넘어가는 비율이 높아진다. 가을에 유독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것도 이 때문. 여름에 강한 자외선을 받은 머리카락은 탈모기로 넘어가 3~6주 뒤인 가을에 빠진다. 모자를 써서 ... ...
Intro. 누가 영재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나
과학동아
l
201105
앞두고 스트레스와 의욕상실로 우울증을 앓다가 정신적 어려움을 이겨내지 못하고 21
층
에서 뛰어내린 것이다.그는 올해 들어 네 번째로 자살한 KAIST(카이스트) 재학생이었다. 언론에서는 서남표 총장이 부임한 뒤 학교 정책이 급격히 바뀌었고 과도한 경쟁 속에서 심리적 압박감을 견디지 못한 ... ...
저질체력 운동 시작하는 법
과학동아
l
201105
높인다.서울 서초동에 있는 삼성레포츠센터의 권오영 피트니스컨설턴트는 “계단 2~3
층
을 걸어서 올라가면 본인의 체력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며 “다리가 뻐근하게 느껴지면 근력운동이, 숨이 차다 느껴지면 유산소운동이 부족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전자의 경우 유산소운동보다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05
원뿔세포가 분포한다.빛을 감지한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내보낸 신호는 거꾸로 내핵
층
의 세포를 거쳐 신경절세포로 전달된 뒤 뇌로 이어진다. 그런데 생쥐의 신경절세포 가운데 약 2%에서 멜라놉신이 발견된 것. 이는 이 신경절세포가 제3의 광수용세포임을 시사하는 결과였다.브라운대 신경과학과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