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부
바깥면
표면
외면
겉
바깥
d라이브러리
"
바깥쪽
"(으)로 총 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04
동시에 수정되는 현상이다척추동물의 눈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뇌의 좌우측 벽의 일부가
바깥쪽
을 향하여 부풀어 올라 주머니모양을 이룬다 이것이 안포라고 불리우는 것 안포의 앞쪽 끝부분은 얼마 후 안쪽으로 오목하게 꺼져내려 안배가 된다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성장하는 동안에 서로 구조나 ... ...
ABC를 알면 꽃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04
이뤄야만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를‘4분자 모델’이라고 부른다.즉 맨
바깥쪽
의 꽃받침은 A단백질 2개, E단백질 2개가 복합체를 이뤄 작용한 결과다. 꽃잎은 A단백질 1개, E단백질 1개, B단백질 2개가 팀워크를 이룬 복합체의 작품이다. 수술은 C단백질 1개, E단백질 1개, B단백질 2개의 ... ...
실험실에서 만든 지구 자기장
과학동아
l
200704
구조로 된 실린더를 만들어 안쪽 실린더와
바깥쪽
실린더 사이에 액체 나트륨을 채웠다.
바깥쪽
실린더 양끝에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반이 실린더 안의 나트륨을 휘저었다.이 결과 실린더의 중심축을 따라 자기장이 유도됐다. 두 원반의 회전 속도를 바꾸면 안정했던 자기장의 극이 ... ...
신궁 주몽에서 찾은 힘의 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
자전거에 타고 있는 사람은 관성에 의해 계속해서 직선 운동을 하려 하기 때문에 결국
바깥쪽
으로 쏠리는 힘을 받게 된다. 이것이 바로 ‘원심력’으로, 원심력은 실제로 작용하는 힘이 아니라 관성에 의해 느껴지는 ‘가짜힘’이다.Tip코리올리 효과 북반구의 고기압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 ...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03
강심제 이뇨제 등 약리작용이 있으며, 소량으로 피로회복의 효력이 있다태양의 가장
바깥쪽
대기로 태양 반지름의 몇 배나 되는 구역에 걸쳐 희게 빛나는 부분 1백만˚K의 고온이며 수소가 주성분인데 매우 희박하다심해저에서 움푹 들어간 좁고 긴 곳으로 급사면에 둘러싸인 해저 지형 대개 수심이 ... ...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
“엄마, 우리 놀이공원 놀러가요!”따분한 듯 텔레비전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던 겨운이가 벌떡 일어나 엄마를 조른다.“이렇게 추운데 무슨 놀이공원이니…. 추울 땐 그저 집에서 노는 게 최고야!”엄마는 바깥 날씨를 상상만 해도 추운 듯 몸을 부르르 떨며 말했다. 겨운이는 입을 삐죽 내밀었다.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02
돌아야 미끄러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하철 바퀴는 하나의 축에 고정돼있기 때문에
바깥쪽
바퀴와 안쪽 바퀴가 모두 미끄러지고 이때 스킬 소음이 발생합니다. ”바퀴와 레일의 마찰로 생긴 진동은 바퀴의 재질과 모양 때문에 높은 진동수의 큰 소음으로 바뀐다. 마찰로 생기는 소음의 크기는 물체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02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에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무언가가 있는 곳의 방향을 알려주는‘잭의 나침반’이 나온다. 이 나침반은 보물을 찾는 해적에게는 매력적이지만, 정확한 북쪽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 본래 역할은 하지 못한다. 나침반을 가진 사람에 따라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이 달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02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로봇 '스피릿'(Spirit)과 '오퍼튜니티'(Opportunity)가 화성 표면에서 생명을 탐색하는 임무를 시작한 지 3주년을 맞았다. 당초 예상 수명이었던 3개월을 한참 뛰어넘은 이들의 활약을 돌이켜보자. 겨울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서 오리온자리 바로 밑 토끼자리 아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01
종이를 한 바퀴 돌아 본래의 위치에 돌아오면 최초의 면과 반대면이 되므로 이 곡면은
바깥쪽
과 안쪽의 구별이 없는 면(단측면〈單側面〉)임을 알 수 있다곡면의 이러한 성질을 처음 지적한 A F 뫼비우스를 기념하기 위해 이 곡면을 「뫼비우스의 띠」라고 부른다 1929~ 독일의 물리학자 뭔헨에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