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와 정신병은 종이 한 장 차이?
2015.06.12
정상인보다 17% 더 많이 발견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8
일자
에 실었다.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아주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작가들을 대상으로 정신질환 검사를 했을 때 점수가 높게 나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며 “학계에서는 천재성과 ... ...
뇌중풍으로 마비된 몸 자꾸 움직이라는 이유
2015.06.12
재활 효과도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해 ‘신경과학저널(Journal of Neuroscience)’ 3
일자
에 발표했다. istockphoto 제공 김 연구원은 뇌중풍으로 사지 일부가 마비된 쥐를 대상으로 한 그룹은 2주 동안 그대로 뒀고, 다른 한 그룹은 건강한 다리만 계속 움직이게 했다. 그리고 이어서 2주 동안 마비된 다리의 ... ...
현미경 이렇게 바꿨을 뿐인데…
2015.06.10
연구팀이 개발한 개량 현미경 모식도. 현미경 집광기에 조리개를 추가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필름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광학현미경을 개량하는 기술을 개 ... 활용될 수 잇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5월 11
일자
에 실렸다. ... ...
쉬면서도 페이스북 자꾸 보고 싶은 이유는?
2015.06.09
멈추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인지신경학(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5월 28
일자
에 발표했다. 뇌가 항상 다른 사람의 마음을 파악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의미다. 휴식 중에 뇌의 특정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졌지만, 그 구체적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 ...
화려하고 예쁜 무당벌레일수록 ‘독’도 더 많아
2015.06.07
생존능력도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내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5
일자
에 발표했다. 무당벌레는 대개 빨간 바탕에 검은 반점이 있지만 그 외에도 노란색에서 주황색까지 색이 다양하다. 주변 환경에 위장하기 쉬운 갈색 무당벌레도 있다. 연구진은 무당벌레의 독을 섞은 물에 ... ...
[메르스 업데이트] 전 세계 메르스 확진 환자 1180명 조사결과 공개
2015.06.05
교수와 알리무딘 줌라 영국 칼리지런던대 교수 등은 의학전문지 ‘랜싯(Lancet)’ 3
일자
온라인판에 ‘메르스’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했다. 저자들은 논문에서 “지식의 부재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 및 백신 개발 등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과학자들은 혹시 모를 팬데믹 ... ...
콜라겐으로 세포시트 5분 만에 만든다
2015.06.03
근적외선을 쪼이면 콜라겐이 녹으면서 자연스럽게 분리된 세포시트(연두색)를 얻을 수 있다.적외선을 쪼이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세포 ... 응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학술지 ‘앙케반테 케미’ 5월 11
일자
에 실렸으며, 이 기술에 대한 특허도 출원된 상태다. ... ...
멍게 껍질로 시린 이 감쪽같이 코팅
2015.06.03
치료에 효과적인 신물질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
일자
에 게재했다. 시린 이는 잇몸이 약해지면서 치아 뿌리 부분이 잇몸 밖으로 노출되고, 뿌리 표면을 덮고 있는 시멘트질이 탄산음료나 칫솔질 등에 의해 벗겨져 나가 생기는 증상이다. 보통 ... ...
스마트폰 물에 빠졌다구요? 침수(浸水) 라벨 믿지 마세요~
2015.06.02
“물에 빠뜨리셨네요.” 구입한 지 얼마 안 된 최신 스마트폰이 자꾸 문제를 일으켜 찾아 간 서비스센터에서 이런 말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가. 물에 빠뜨린 적 ... 분야 세계 최고 저널 ‘신뢰성공학과 시스템안전(Reliability Engineering & System Safety)’ 5월 5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잘 웃고, 잘 우는 이유 유전자 OO 때문
2015.06.02
사람보다 웃음이 더 많다는 사실을 미국심리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감정(Emotion)’ 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3차례에 걸쳐 33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청년들이 모여 만화를 봤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청년부터 노인까지 사람들에게 웃긴 동영상을 보여줬다.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