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계월
현토
뉴스
"
일개월
"(으)로 총 4,456건 검색되었습니다.
‘굿바이 나로과학위성’ 나로호 탑재체, 4월 우주 미아 됐다
2014.09.23
14개월의 짧은 생을 마감한 나로과학위성. - KAIST 제공 ...
‘안젤리나 효과’는 계속 된다
2014.09.21
2013년 5월 14일 안젤리나 졸리는 미국 뉴욕타임즈에 '나의 의학적 선택(My Medical Choice)'라는 제목으로 유방절제수술을 단행한 심경을 공개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베르테르 효과’는 유명인이 자살한 뒤 그 뒤를 따라 자살이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런데 유방암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돌연 ... ...
김두철 서울대 명예교수 IBS 신임 원장 선임
2014.09.21
김두철 IBS 신임 원장.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김두철 서울대 명예교수(66·사진)가 기초과학연구원(IBS) 신임 원장에 선임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김 교수를 제2대 IBS 원장으로 선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IBS는 오세정 초대 원장이 서울대 총장 출마를 이유로 2월 사퇴한 이래 7개월의 공백기를 마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초파리는 포도껍질이나 오래된 바나나 등에 꾀어들어 금방 수가 불어나는 귀찮은 벌레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몸집이 작고 빠른 시간에 번식하며 값싼 먹이로 키울 수 있다는 특징 덕분에 초파리는 생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실험체가 돼 ... ...
이산화탄소가 걱정이세요? 촉매가 있잖아요
2014.09.12
은(Ag) 입자에 황(S)을 더하자 촉매반응에 필요한 전기에너지 양이 줄어들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해 단기간에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김형준 KAIST EEWS대학원 교수팀은 슈퍼컴퓨터에서 양자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이산화탄소(CO2)를 일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대통령을 위한’ 시리즈로 유명한 리처드 뮬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5일 동아일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경제성이 높고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른 풍력이 한국에 가장 적합한 신재생에너지”라고 밝혔다. -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제공 《 “상상해 봅시다. 당신이 대통령이에요.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부부 설치미술가 ‘로와정’이 ‘456개의 채널’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컨테이너 외부에 90장의 사진을 연이어 붙이고, 안쪽에는 사진을 볼 때 발생했던 작가의 뇌파 그래프를 부착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처음엔 뇌파로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예술가를 도왔어요. 그런데 작품을 도와 ... ...
백작부인이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머라고?
수학동아
l
2014.08.27
'hello, mathematics'라는 글자를 출력하도록 서로 다른 두 가지 언어로 코딩한 모습이다. - (주)동아사이언스/ ⓒ일러스트 허경미 제공 위 화면은 'hello, mathematics'라는 글자를 출력하도록 서로 다른 두 가지 언어로 코딩한 모습이다. 하나는 잘 알려진 C언어 코딩이고, 하나는 세계 최초 프로그래머인 ... ...
“교육과정 개정안은 이과 폐지안”
2014.08.25
2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 모인 20개 과학기술단체장은 교육과정 개정안이 사실상 ‘이과 폐지안’이라며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 이재웅 기자 ilju2@donga.com 과학기술계 주요 단체장들이 최근 교육부가 추진 중인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안이 사실상 ‘이과 폐지안’이라며 ... ...
[新 알파우먼, 엄마에서 과학자로 ③]“엄마 과학자 되고 싶다면…”
2014.08.24
“아기 낳기 전에는 잘 나가는 연구원이었어요. 제가 낸 연구결과가 뉴스에 나오기도 했죠.” 19일 KAIST 캠퍼스에서 만난 김만선 서울시립대 수학과 연구교수는 KAIST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던 시절을 회상했다. 김 연구교수는 당시 질병과 관련 있는 수많은 단백질이 서로 어떤 관계가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