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처음으로 결성된 동성애자 모임인 초동회가 게이와 레스비언으로 분리될 때 조직된
최초
의 게이 단체이다. 레스비언은 '끼리끼리'를 만들었다. 이들은 1995년 6월 대학의 동성애 동아리인 서울대의 '마음 001', 연세대의 '컴투게더'와 함께 동성애자들의 인권운동을 펼쳐나갈 협의체를 발족시켜 언론의 ... ...
NASA는 어떤 조직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계획이다.NASA가 세워진 것은 1958년 10월 1일. 1957년 10월 4일에 옛소련이 인류
최초
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1호를 발사한 것을 보고 받은 충격을 만회하기 위해서였다. NASA가 세워지기 전에는 1915년 설립된 NACA(국가항공자문위원회)가 있었다. 랭글리연구센터(1917년), 에임스연구센터(1939년),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판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원자와 분자를 이용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판을 만들었다. 주판은 ‘인류가
최초
로 발명한 메모리’라는 의미를 가진다.분자주판의 원리는 구리원자로 둑을 쌓고 그 사이 고랑에 10개의 분자를 놓아 움직이는 방식. 구리원자 사이에 있는 고랑이 레일 역할을 하고, 주사형터널링현미경(STM)의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밝기의 대혜성 헤일-밥이 모습을 나타내 ‘대혜성과 개기일식의 만남’이라는 금세기
최초
의 대장관이 펼쳐진다. 태양이 사라지면 헤일-밥혜성은 백조자리 옆에서 그 아름다운 모습을 나타낼 것이다. 그래서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황량한 동토는 전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 때문에 벌써부터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청와대에 제출한 '한국공룡의 다목적 개발을 위한 청원서'가 처음이다.과연 누구를 한국
최초
의 공룡화석 발견자라고 해야 할 것인가. 결론은 학계에서 내려야 한다. 다만 결론이 내려질 때가지 과학동아는 발표시점을 존중해 "한국 공룡화석은 76년 2월 경북대 양승영교수에 의해 발표된 것이 처음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부착시켜 자연심장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려는 목적이다.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이
최초
로 사람에게 사용된 것은 1982년의 일이다. 미국인 치과의사 클라크에게 이식돼 생명을 1백12일 동안 유지시켰다. 1985년 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을 이식받은 미국인 스크로더는 수술 후 퇴원해 6백20일 동안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신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다시 환자의 몸 속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다.인공신장을 사람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킨
최초
의 사례는 1943년 급성신부전환자의 생명을 구한 일이다. 최근 노폐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없애기 위해 두단계 작전이 시행되고 있다(그림 2). 먼저 적혈구나 백혈구와 같은 혈구 성분과 이를 제외한 혈장을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왔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아이콘의 조상인 그림이다. 그림은 고대 인간들이 사용했던
최초
의 기록방법이었다.동굴벽화에서 보는 이미지들은 교육, 주술적인 기능을 담당했다. 그림문자로부터 시작해 여러 종류의 표의문자들이 생성됐으며, 이것은 중세시대 각 가문을 상징하는 문장(紋章)의 형태로 ... ...
허블망원경 수리 우주 생중계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수 있다. 이번 허블망원경 수리는 두번째다. 이미 1993년12월 엔데버호가 우주비행 사상
최초
로 우주에 떠 있는 망원경을 로봇팔로 잡아 수리했던 것. 7명의 승무원이 5번의 우주유영(총 유영시간 35시간28분)으로 제1반사경을 비롯해 11곳을 성공적으로 수리했다. 당시의 모습을 비디오로 감상할 수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있다. 또 단순히 호기심을 끌고 눈에 보기 좋게 만들려는 조경적 목적도 있었다고 한다.
최초
의 미로 정원은 돌과 석재, 또는 잔디로 구성돼 있어 전체 구조가 한눈에 들어왔다. 17세기 말에 들어서자 거대한 숲 형태가 등장했다. 밖에서 안쪽을 바라볼 수 없게 된 것이다.베르사이유 궁전에는 177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