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1600년 정도 쌓이면 0.0078×1600=12.48이므로 열흘이 넘게 달라진다. 그래서 그레고리 13
세
는 남는 날짜를 없애기 위해 1582년 10월 4일의 다음날은 10월 15일로 정했다. 윤년 구하는 법 ❶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예) 1996, 2004❷ ❶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 아니다. 예)1900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있기에 가능하다. 김 팀장은 “오티스 엘리베이터는 한국의 경남 창원, 중국의 다롄 등
세
계 각지에 12개의 테스트 타워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최근에는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도 잘 갖춰져 있다”고 덧붙였다. 전국의 엘리베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상황실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2회째에 배신을 당하도록 돼 있었다. 각각 2번을 제외하고 컴퓨터는 배신하지 않았다.
세
번째 그룹은 처음부터 끝까지 배신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와 게임을 했다.20회까지 게임을 마친 뒤 라운트 교수는 학생들에게 “만약 남은 10회 동안 상대를 배신하면 상대방과 신뢰를 회복하기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하니 국내 최대 실감방송 연구센터임을 ‘실감’케 한다.우리나라 실감방송 기술이 전
세
계의 방송 산업을 이끄는 수준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호 교수는 “무엇보다 기초과학 수준을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섯 가지 감각의 인지과정에 대한 이해라든지, 영상정보에 ... ...
수능 가중치 유리하게 활용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지난 11월 12일 2010학년도 수능이 치러지며 본격적인 정시 전형이 시작됐다. 자연계 상위권 대학을 지망하는 학생들은 정시 일정을 꼼꼼히 파악하고 자신이 지망하는 대학의 지원 전략을
세
워야 한 ... 약대 모집이 줄어들면서 자연대의 일부 모집 단위는 합격선이 계속 올라가는 추
세
다 ... ...
달려라! 녹색 자전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우선도로에서는 자전거의 안전을 위해 자동차가 시속 20~30㎞이하로 달리도록 돼 있다.
세
계의 자전거 도로는 어떤 모습일까? ❶ 자전거 전용도로인 ‘사이클 트랙’(미국 뉴욕). 가로수나 자전거 주차장 등으로 자전거도로가 확실히 구분돼 있다. ❷ 자전거 차선이 표시된 교차로(독일 뮌스터).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산과 같은 비율에 도달하려면 수직 고도가 무려 25킬로미터가 되어야 한다.대포알을 탄
세
명의 모험가는 마침내 달을 가까이 지나가면서 달의 지형을 관찰합니다. 달에도 지구처럼 높은 산이 여기저기 솟아 있는데, 가장 높은 산의 높이가 7603m라고 합니다.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 ... ...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7일로 이루어진 일주일에 완전히 익숙해졌습니다. 서양에서는 서기 325년 콘스탄티누스 1
세
가 소집한 니케아 공의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1895년에 들어온 이래 100년 넘게 쓰이고 있습니다.1. 대상 : 초등 3학년 이상, 생활에서 쓰는 달력의 원리와 장단점을 알고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본명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 1872년 발표한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1865년 발표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이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평범한 수학교수였던 도지 ...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 물체가 마치 거슬러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움직임에 반응하는 시각신경
세
포가 피로를 느끼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운동잔상 효과’라고 한다.2006년 이 현상에 대한 촉각 버전이 확인됐다.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손가락 끝에 진동을 주는 자극기를 고안했다. 연구팀은 이 자극기로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